“부모님 돌보고 싶지 않아요” 가족 대행 서비스 늘어나는 日

“부모님 돌보고 싶지 않아요” 가족 대행 서비스 늘어나는 日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4-15 15:01
업데이트 2024-04-15 15: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노인 부양 이미지.  서울신문
노인 부양 이미지.
서울신문
일본에서 늙은 부모를 돌보고 싶지 않은 자녀 세대를 중심으로 가족 대행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고 일본 아베마타임즈가 15일 보도했다.

매체는 한 70대 남성의 사연을 소개했다. 이 남성은 지난 1월 건강이 좋지 않아 입원했고 앞으로 혼자 살기가 어렵겠다고 생각해 30년간 소원했던 아들에게 연락했다. 그러나 아들은 “돌보고 싶지 않다”며 가족 대행 서비스를 신청했고 요양원 입소와 장례 및 무덤 준비 등 늙은 아버지에게 필요한 향후 모든 절차를 맡겼다.

가족 대행 서비스 업체인 LMN의 엔도 히데키 대표이사는 “최근 2~3년 사이 가족 대행 서비스 신청 건수가 3~4배 증가했다”고 말했다. 부모를 돌보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 자녀들이 주로 신청한다. 오랜 시간 부모와 연을 끊은 채 지내다 갑자기 병원에서 연락받은 자녀들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가족 대행 서비스를 찾는다. 가족이 있더라도 버려질 가능성이 있는 당사자가 직접 찾기도 한다.

비슷한 제도로 성년후견제도가 있다. 그러나 성년후견제도는 판단능력이나 의사능력이 떨어지는 노인들의 자산관리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가족 대행 서비스는 외출이 불가능한 사람을 위해 대신 병원을 찾고 행정수속을 밟아주는 등 실생활에서 가족이 해야 할 일을 지원한다.

엔도 대표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고맙습니다’라는 말 대신 ‘어깨에서 무거운 짐 덜어냈다’고 말한다”면서도 “부모들은 자신들이 버려졌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사회적으로 가족 간에도 점차 소원해지고 있지만 아직 일본에는 가족과의 인연을 법적으로 끊는 제도가 없다. 대신 주소를 밝히지 않고 거리를 두는 주민표 열람 제한, 접촉하고 싶지 않은 의사를 표시하는 내용 증명, 이름을 바꿔 찾기 어렵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해당 기사를 접한 일본 네티즌들의 반응은 뜨겁다. 한 네티즌은 “부모를 돌볼 의무는 없다. ‘부양의 의무’가 있긴 하지만 신체적 돌봄이 아닌 금전적 지원을 말한다”면서 “부모 자식 관계의 압박감에 시달리다 보면 결과적으로 서로의 불행을 초래할지 모른다”고 남겼다.

부모로부터 학대당했다는 또 다른 네티즌은 “어른이 돼서도 부모님이 무섭다. 어린 시절의 아픔이 성인이 돼서도 사라지지 않는다”면서 “부모라고 무조건 아픈 감정을 봉합하고 돌봐야 하느냐. 부모는 자신의 육아의 결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부모를 ‘버리지’ 말고 ‘떠나라’. 모든 자녀는 독립적이고 행복할 권리가 있다”면서 “할 수 있다면 부모와 자녀 모두 행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