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9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소비자물가 6개월 만에 1%대 올라긴 장마에 농축수산물 13.5% 껑충
채소류 34.7% 급등… 농산물값 19%↑
전세 1년 7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기재부 “필요시 비축 물량 풀겠다”
27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소비자가 진열된 포장김치를 살펴보고 있다. 지난 9월 세 차례 불어닥친 태풍의 영향으로 배춧값이 평년보다 90% 오르면서 값이 오르지 않은 포장김치를 사 먹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27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포장김치가 진열되어 있다. 가을 배추가 한창 자라는 시기인 9월에 들이닥친 태풍의 영향으로 배춧값이 평년보다 90% 넘게 뛰어 소비자는 김장 대신 포장김치를 사 먹거나 대형마트와 사전계약으로 값이 오르지 않은 절임 배추를 찾고 있다. 2019.10.27.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소비자물가 6월 기점 반등통계청은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6.20(2015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상승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 3월(1.0%)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6개월 만에 1%대 복귀를 의미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3월 1%대에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여파로 4월 0.1%, 5월 -0.3%로 내려갔다가 6월을 기점으로 반등하고 있다. 6월 0.0% 이후 7월에 0.3%, 8월에 0.7%를 기록했었다.
다만 코로나19 사태 여파에 외식이 줄어든 데다 저유가·고1 무상교육 조기 시행 등 영향을 받아 저물가 기조는 이어지고 있다.
27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포장김치가 진열되어 있다. 가을 배추가 한창 자라는 시기인 9월에 들이닥친 태풍의 영향으로 배춧값이 평년보다 90% 넘게 뛰어 소비자는 김장 대신 포장김치를 사 먹거나 대형마트와 사전계약으로 값이 오르지 않은 절임 배추를 찾고 있다. 2019.10.27.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김장 김치. 뉴스1 자료사진
김장철 덮칠 지 주목품목별로는 농산물의 가격 급등이 가장 가팔랐다. 13.5% 오른 농축산물 가격은 2011년 3월(14.6%) 이후 9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특히 채소류가 34.7% 급등하면서 농산물이 19.0%나 올랐다.
배추(67.3%), 무(89.8%), 사과(21.8%) 등이 상승폭을 끌어올렸다.
이에 따라 시중에서 파는 김치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G홈쇼핑에서 파는 A업체 포기김치 가격은 5㎏에 3주 만에 2만원대에서 4만원대로 2배 가까이 뛰었다. 배추뿐 아니라 고추가루 등 김장 재료들도 일제히 가격이 오르면서 김장을 하는 가정 내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다만 채소류 생육기간이 70~80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9월 장마·태풍 이후 재배된 배추와 무는 본격적인 김장철 직전인 11월 초쯤 출하될 수 있을 전망이다. 김장철 이후 배추 등 물량이 대폭 풀리면 가격은 다소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 남촌농산물시장에 가득 찬 과일상자
추석 연휴를 이틀 앞둔 28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남촌농산물도매시장 과일동에 상자에 담긴 과일이 가득 차 있다. 2020.9.28
연합뉴스
연합뉴스
석유 12.0%·전기·수도 4.1% 내려축산물(7.3%)도 많이 올랐고 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6.0%를 나타냈다.
상품은 한 해 전보다 1.5% 올랐다.
반대로 저유가 기조가 이어지면서 공업제품은 0.7% 내렸다. 석유류는 12.0% 급락했고 가공식품은 1.2%로 소폭 상승했다.
전기·수도·가스는 4.1% 하락했다.
코로나19에 외식 등 서비스를 소비하려는 수요가 줄어들며 서비스는 0.5% 오르는 데 그쳤다.
서비스 가운데 개인서비스는 전년 동월 대비 1.3% 올랐다. 외식이 1.0%, 외식 외가 1.5% 각각 상승했다.
잇따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이후 전셋값 폭등 및 전세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4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공인중개사 사무소 밀집 상가 유리창에 12억원대의 부동산 전세 매물 안내지가 붙어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집세는 0.4% 올라 2018년 8월(0.5%)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전세(0.5%)는 2019년 2월(0.6%)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고, 월세(0.3%)는 2016년 11월(0.4%) 이후 3년 10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고교 납입금 지원 강화에 공공서비스는 전년 동월 대비 1.4% 내렸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코로나19에 ‘집밥’ 수요가 늘며 식료품·비주류음료(8.3%)가 2011년 8월(11.2%)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반대로 주류·담배는 -0.2% 내리며 2002년 8월(-0.3%) 이후 가장 많이 떨어졌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9%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0.6% 상승했다.
추석 앞두고 과일 사는 시민들
추석 연휴를 이틀 앞둔 28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남촌농산물도매시장 과일동에서 시민들이 과일을 사고 있다. 2020.9.28.
연합뉴스
연합뉴스
21.5% 상승, 2011년 2월 이후 최대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21.5% 상승했다. 특히 신선채소가 34.9% 올랐다. 신선식품지수 상승 폭은 2011년 2월(21.6%) 이후 최대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긴 장마에 농산물 가격이 상승했으나 낮은 국제유가와 교육분야 정책지원 강화에 저물가 현상은 계속되고 있다”면서 “현재 채소류 가격이 높지만 9월 이후 날씨가 좋아 10월 말쯤에는 안정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안 심의관은 “9월에 국제유가가 하락했고 이는 한 달 정도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에 반영될 것”이라며 “정부의 통신비 지원도 서비스 물가를 내릴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향후 코로나19 전개 양상과 가을 태풍 등 기후 여건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농산물 가격 상승이 밥상물가 부담 가중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필요시 비축물량 방출 등 수급 불안 방지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못난이 사과’여도 맛은 최고… 태풍 피해 농가 돕기 할인
서울 용산구 이마트 용산점이 10일 일명 ‘못난이 과일’이라고 불리는 보조개 사과를 50% 할인 판매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역대 최장 장마와 연이은 태풍으로 피해를 입은 농가를 돕고 급등한 과일 시세를 안정시키고자 기획됐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