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장마에 물가 반년만에 1%대 올라…집세도 25개월만에 최대 상승

긴 장마에 물가 반년만에 1%대 올라…집세도 25개월만에 최대 상승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0-10-06 15:16
수정 2020-10-06 15: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축수산물 13.5% 급등...9년 6개월만에 최대폭
채소류가 34.7% ↑...무·배추·토마토 오름폭 커
집세도 0.4% 올라 2018년 8월 이후 가장 큰폭

지난달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긴 집중호우에 태풍 피해까지 겹치면서 예년에 비해 채소·과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서울신문DB
지난달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긴 집중호우에 태풍 피해까지 겹치면서 예년에 비해 채소·과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서울신문DB
긴 장마와 잇단 태풍 영향으로 채소값이 급등하는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10년 새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임대차 3법 시행 영향으로 전세와 월세 등 집세도 2년 1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20(2015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상승했다. 소비자물가가 1%대 상승률을 보인 건 지난 3월(1.0%) 이후 6개월 만이다. 농축수산물이 13.5%나 오른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2011년 3월(14.6%) 이후 9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특히 채소류가 34.7%나 올랐다. 무(89.8%)와 배추(67.3%), 토마토(54.7%) 등의 오름 폭이 컸다.

주거 비용 부담도 커졌다. 집세가 0.4% 올라 2018년 8월(0.5%)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전세(0.5%)는 2019년 2월(0.6%) 이후 1년 7개월 만에, 월세(0.3%)는 2016년 11월(0.4%) 이후 3년 10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지난 8월부터 개정된 임대차법이 시행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계절적인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외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도 전년동월 대비 0.9% 올라 8월(0.8%)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0.6% 상승했는데, 8월(0.4%)에 비해 0.2% 포인트 오른 것이다.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도 오름 폭(0.5→0.9%)이 확대됐다.

단 저유가와 고교 무상교육 확대,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저물가 기조는 이어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긴 장마로 농산물 가격이 상승했지만 낮은 국제유가와 교육분야 정책지원 강화에 저물가 현상은 계속되고 있다”며 “채소류 가격이 높지만 지난달 이후 날씨가 좋아 이달 말쯤에는 안정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코로나19로 ‘집밥’ 수요가 늘면서 식료품·비주류음료(8.3%)가 2011년 8월(11.2%)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반면 교통(-3.5%)과 교육(-2.2%), 오락 및 문화(-0.8%) 등 대외활동과 관련한 물가는 하락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소비자물가는 코로나19 전개 양상과 가을 태풍 등 기후 여건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4차 추가경정예산에 포함된 통신비 지원으로 서비스 가격이 하락할 요인이 있다”고 전망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