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117% 오른 탄소배출권
4분기 거래량도 5.6배 늘어나
20일부터 증권사들도 시장 참여
국내 파생상품 등장 여부 주목
올 4분기 들어 탄소배출권 거래량과 가격이 급증했다. 국내 증권사들도 탄소배출권 거래에 뛰어들면서 내년엔 시장이 커지고 배출권 가격도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0월부터 전날까지 탄소배출권 KAU21은 191만 67t(톤)이 거래됐다. 3분기(34만 136t)와 비교하면 거래량이 5.6배가량 증가했다. 하반기 들어 배출권 가격도 크게 뛰었다. 지난 6월 말까지만 해도 종가 기준 1만 6150원이었던 KAU21은 전날 3만 50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약 117% 올랐다.
교보증권, 대신증권 등 국내 17개 증권사들은 지난 20일부터 탄소배출권 거래를 시작했다. 환경부와 한국거래소가 증권사의 배출권 시장 진출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거래소는 지난 11월 배출권 시장 참여를 위한 증권사들의 신청을 받았다. 기존에는 정부와 할당 대상 업체 650개사를 비롯해 국책은행 2곳(한국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과 증권사 3곳(한국투자증권·하나금융투자·SK증권)이 시장조성자로 참여해왔다. 거래소 관계자는 “증권사의 시장 참여로 유동성이 늘어나면 거래량이 많아져 탄소배출권 가격 신뢰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배출권 거래제도는 시장에서 형성되는 배출권 가격으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기 위해 고안됐다. 탄소배출권 가격이 높을수록 기업 입장에서는 탄소 저감 장치 개발 등에 대한 압박이 높아지게 된다. 결국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올라야 정부가 발표한 것처럼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는 데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아직 증권업계에 탄소배출권 거래로 인한 큰 변화는 관측되지 않고 있다. 탄소배출권과 관련해 증권사는 자기매매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거래소는 “증권사의 시장참여가 정착된 이후에는 할당업체 등이 거래소에 직접 주문을 내지 않고도 증권사에 위탁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거래 편의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면서도 “시점은 아직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당장은 새로운 영역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파생상품 개발 등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향후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나 상장지수채권(ETN)이 등장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난 9월에는 자산운용사들이 국내 최초로 글로벌 탄소배출권 ETF 상품을 내놔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운용센터장은 “수년 내에 우리나라도 해외처럼 탄소배출권 거래 선물 시장이 열려 ETF·ETN 등 다양한 상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넷제로(Net Zero·탄소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대한 탄소 할당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라 탄소배출권 가격은 꾸준히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4분기 거래량도 5.6배 늘어나
20일부터 증권사들도 시장 참여
국내 파생상품 등장 여부 주목
한국거래소의 모습. 연합뉴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0월부터 전날까지 탄소배출권 KAU21은 191만 67t(톤)이 거래됐다. 3분기(34만 136t)와 비교하면 거래량이 5.6배가량 증가했다. 하반기 들어 배출권 가격도 크게 뛰었다. 지난 6월 말까지만 해도 종가 기준 1만 6150원이었던 KAU21은 전날 3만 50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약 117% 올랐다.
교보증권, 대신증권 등 국내 17개 증권사들은 지난 20일부터 탄소배출권 거래를 시작했다. 환경부와 한국거래소가 증권사의 배출권 시장 진출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거래소는 지난 11월 배출권 시장 참여를 위한 증권사들의 신청을 받았다. 기존에는 정부와 할당 대상 업체 650개사를 비롯해 국책은행 2곳(한국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과 증권사 3곳(한국투자증권·하나금융투자·SK증권)이 시장조성자로 참여해왔다. 거래소 관계자는 “증권사의 시장 참여로 유동성이 늘어나면 거래량이 많아져 탄소배출권 가격 신뢰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배출권 거래제도는 시장에서 형성되는 배출권 가격으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기 위해 고안됐다. 탄소배출권 가격이 높을수록 기업 입장에서는 탄소 저감 장치 개발 등에 대한 압박이 높아지게 된다. 결국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올라야 정부가 발표한 것처럼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는 데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아직 증권업계에 탄소배출권 거래로 인한 큰 변화는 관측되지 않고 있다. 탄소배출권과 관련해 증권사는 자기매매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거래소는 “증권사의 시장참여가 정착된 이후에는 할당업체 등이 거래소에 직접 주문을 내지 않고도 증권사에 위탁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거래 편의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면서도 “시점은 아직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당장은 새로운 영역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파생상품 개발 등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향후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나 상장지수채권(ETN)이 등장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난 9월에는 자산운용사들이 국내 최초로 글로벌 탄소배출권 ETF 상품을 내놔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운용센터장은 “수년 내에 우리나라도 해외처럼 탄소배출권 거래 선물 시장이 열려 ETF·ETN 등 다양한 상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넷제로(Net Zero·탄소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대한 탄소 할당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라 탄소배출권 가격은 꾸준히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