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전국 땅값 1.25% 상승…제주 상승률 5.71%로 1위

상반기 전국 땅값 1.25% 상승…제주 상승률 5.71%로 1위

입력 2016-07-27 11:03
수정 2016-07-27 1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군·구 중 울산 동구와 경남 거제만 땅값 하락주택거래 줄면서 토지거래량도 감소…순수토지거래는 저금리에 최고치

상반기 전국 땅값이 소폭 상승했다.

땅값은 2010년 11월 이후 지난달까지 68개월째 오르고 있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상반기 지가변동률(상승률)은 1.25%였다.

상반기 지가변동률은 작년 12월 지가지수(102.572)와 올해 6월 지가지수(103.850)를 비교해 산출됐다.

지가지수는 한국감정원이 전국 7만필지를 선정해 공시지가와 적정 실거래가 등을 토대로 산출하며 기준(지가지수 100)은 2014년 12월이다.

상반기 땅값이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제주로 상승률이 5.71%였다.

특히 제주 서귀포시와 제주시는 땅값이 각각 6.08%와 5.49% 올라 상승률로 따졌을 때 시·군·구 가운데 1위와 2위였다.

작년 11월 발표된 제주 제2공항 후보지 주변으로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서귀포·제주시 땅값이 뛰었다고 국토부는 분석했다.

제주 다음으로는 세종(2.10%)·대구(2.00%)·부산(1.92%)·대전(1.66%)·서울(1.34%)·강원(1.34%)·경북(1.32%) 등의 땅값 상승률이 높았다.

세종은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개발 중인 것이 땅값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됐고 대구와 부산은 각각 달성군·남구와 해운대구가 상승을 이끌었다.

시·군·구 가운데 땅값 상승률 3위를 기록한 해운대구(3.85%)는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등 호재가 나타나고 주택재개발사업이 진척되면서 땅값이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땅값 상승률 4위인 달성군은 대구지하철 1호선이 하반기 연장 개통되는 점 등이 땅값에 영향을 미쳤고 상승률 5위인 남구는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수요가 늘고 단독주택지 가격이 올라 땅값이 상승했다.

시·도 가운데 광주(1.24%)·울산(1.18%)·전남(1.13%)·경남(1.13%)·전북(1.04%)·경기(0.95%)·충남(0.89%)·충북(0.86%)·인천(0.82%) 등은 땅값 상승률이 전국 평균(1.25%)보다 낮았다.

특히 시·군·구 가운데는 조선업이 중심산업인 울산 동구(-0.28%)와 경남 거제시(-0.19%)만 땅값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도 조선업이 침체하면서 부동산수요가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용도지역별 땅값 상승률은 주거(1.39%)·계획관리(1.32%)·상업(1.17%)·녹지(1.1%)지역 순이었다.

이용 상황별로는 주거용지(1.40%)·전(1.38%)·답(1.06%)·공장용지(0.93%)·임야(0.85%) 순서로 상승률이 높았다.

한편 상반기 토지거래량은 140만7천410필지(1천102.6㎢)로 상반기 기준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작년 상반기(153만661필지)보다는 8.1%, 작년 하반기(155만5천868필지)보다는 9.5% 감소했다.

단 최근 5년(2011∼2015년) 평균(122만1천256필지)보다는 15.2% 많았다.

상반기 토지거래량은 시·도 가운데 강원·제주·충북에서만 늘었다.

국토부는 주택거래량이 줄어 토지거래량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토지거래량은 건축물 부속토지와 건축물에 속하지 않은 순수토지의 거래량을 합해 계산한다.

순수토지거래량은 55만7천필지(1천23.2㎢)로 작년 하반기보다는 3.5% 줄었지만, 작년 상반기에 견주면 1.6% 늘면서 토지거래량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상반기 거래량으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금리상황이 지속하면서 개발수요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토지거래가 활발해 순수토지거래량이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 상세자료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r-one.co.kr)과 국토교통통계누리(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