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의 감염병 이야기] 우리는 코로나19 2차 대유행을 이겨낼 수 있을까

[이재갑의 감염병 이야기] 우리는 코로나19 2차 대유행을 이겨낼 수 있을까

입력 2020-08-24 20:22
수정 2020-08-25 04: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기나긴 장마 끝에 해는 떠올랐지만 우리에게 코로나19 2차 유행이라는 더 큰 시련이 시작됐다. 지금 돌이켜 보면 아쉬운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졌다. 카페나 식당에서 발생하는 감염자가 7월 전에 이상할 정도로 적었는데 최근 들어서 여러 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사람이 붐비는 장소를 피했는데 최근에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게다가 몇십 년 만이라는 긴 장마까지 겹치면서 실내 활동을 더 촉진시켰다.

둘째, 휴가철이 겹쳤다. 많은 사람들이 호텔로, 여행지로 떠나면서 접촉빈도가 늘었고 코로나19 확산에도 영향을 주었다. 내수 진작을 위한 외식 장려나 여행 장려와 같은 정부 정책도 감염 확산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됐다. 지역사회 깜깜이 감염자가 늘어난 상황에서 방역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교회와 대규모 집회로 감염의 고리가 이어지면서 전국적인 확산에 이르게 됐다. 이 바이러스는 정말 우리의 취약한 곳을 통해 우리의 방심을 먹이 삼아 이렇게 감당하기 힘든 유행을 만드는, 상대하기 힘든 바이러스다.

그러면 지금의 유행이 왜 1차 대유행보다 더 위험하다고 하는가. 무엇보다 인구밀집 정도가 높기로 유명한 수도권에서 유행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건국대 수학과 정은옥 교수의 수학적 모델링에 따르면 12일부터 일주간의 기초재생산지수는 2.8이다. 만약 방역 수준에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면 2~3주 후 날마다 1000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할 수도 있다. 게다가 교회와 광화문 집회가 유행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령자들의 발병이 많다. 8월 13일부터 어제까지 발병한 사람들 중 60대 이상이 30%다.

또다시 시작된 지금의 위기를 우리는 어떻게 이겨낼 수 있을까. 자발적 사회적 거리두기가 가장 중요한 해법이다. 정부와 방역 당국도 선제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깜깜이 감염이 늘어나고 전국 단위의 감염 확산이 이미 시작됐기 때문에 경제적인 상황을 고려해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를 주저하지 말고 수도권에 대해 우선적으로 격상하고 다른 지역도 준비를 해야 한다. 강력한 억제요법을 유지해 유행의 고리를 끊어내는 게 오히려 경제에 주는 타격이 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과 일반병상, 생활치료센터를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미 병상이 부족해 입원 대기를 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중환자를 위한 병상도 바닥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피해 최소화의 근본 목적은 치명률을 낮추는 것이다. 지금 하루하루가 정말 급한 상황이므로 공공 영역뿐만 아니라 민간 영역까지 나서서 이 파국을 대비해야 할 때이다.

많이 지쳐 있지만 지쳐 있을 겨를도 없이 밤낮으로 뛰고 있는 방역 당국과 의료진을 위해서라도 자기의 자리에서 ‘잠시 멈춤’을 꼭 지켜 주었으면 한다.
2020-08-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