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규 광운대 게임학과 교수
하지만 국내 게임 산업의 인재 수요와 그 교육 수준은 서로 맞지 않다는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 게임을 비롯한 IT 산업 전반적으로 프로그래머의 하향 평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게임 산업계에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앞으로 기본적인 개발자 인재풀마저 축소될 것으로 보이는 점은 우려스럽다.
현재 국내 게임 업계의 경우 새로운 프로그래머를 양성하는 교육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해외는 게임 구동 및 제작에 사용되는 ‘다이렉트X11’로 대부분 갈아탄 상황임에도 국내의 대형 게임 업체들이 여전히 이전 제품인 ‘다이렉트X9’를 고집하는 것도 새로운 게임 구동·제작 체제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하향 평준화된 개발자들로 인해 한국 게임 업계는 해외와 다른 행보를 걷고 있다. 보다 개발이 쉬운 모바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으로만 신작 방향을 맞추게 된 것이다. 이는 또다시 국내 게임 업계의 개발력이 저하되는 악순환을 가져왔다.
국내 게임 업계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게임 교육기관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그중에는 대학 전공을 아예 게임관련 과목으로 선택하는 사례도 있지만 게임 관련 기관 산하에서 배우거나 개인적으로 학원 등에서 학습하는 경우도 많다.
교육기관은 실무 중심의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지만 이들이 전문적인 교육을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는 많다. 학생들이 접하는 실무 교육체계의 질이 낮은 것이다. 이는 국내 게임 개발자의 기술·연구 수준이 뒤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 근본 원인이기도 하다.
게임 전문 교수진의 부족도 게임 교육 시스템 부실과 관련이 있다. 게임교육의 기관별 경력 교수 현황을 살펴보면 IT, 기타 분야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게임 관련 실무 전문 교수는 25%에 그치는 수준이다. 새롭게 발전하는 게임사들의 실무 기술 수준을 빠르게 습득하지 못하고 낡은 기술을 가르치는 교육기관들이 아직 많은 이유다. 실제 게임 산업 현장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기술을 가르친다면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무 인재를 양성하기 어렵다.
게임 분야는 그 어떤 산업군보다 빠르게 발전하므로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강사진도 꾸준히 새로운 기술을 익혀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 대학과 같은 교육기관에서 기초적인 교육을 가르치고 사설 교육기관에서는 이를 보충해 주는 개념으로 가는 등 각자의 전문성을 살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게임 교육이 특정 분야 위주의 획일적이고 단순화된 교과과정 운영보다는 게임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해 실제 제작 경험을 수반할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을 꾸리는 것도 중요하다.
교육기관에서도 지속적으로 여러 게임사들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기술들을 받아들이고 공조해 나가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다양한 학습을 통해 업계에서 미래에 어떤 인재를 원하는지 미리 간파하는 것도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게임사에서 원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전문 교수진뿐만 아니라 새로운 장비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기관 스스로의 노력뿐 아니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중요하다. 정부 차원의 직접적인 게임 전문 인력 양성과 이에 따른 각종 지원 사업의 수행은 산업계 및 교육계의 발전을 선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개별 게임사에서도 경력자 위주의 채용보다는 우수 신입 개발자를 적극적으로 육성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거나 인턴십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등 새로 싹트는 우수인재를 키워 낼 수 있도록 발 벗고 나서야 할 필요가 있다.
게임 교육이 지닌 오랜 문제점을 해결해 창의적인 개발인력 양성에 힘쓸 때 비로소 국내 게임 산업은 진정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다.
2020-10-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