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강원도를 여행하던 중 우연히 들른 시골집에서 대접받았던 감자 옹심이는 솔직히 맛이 없었다. 고맙게 먹으면서도 ’이걸 무슨 맛으로 먹는 거지’ 할 정도로 고개가 갸우뚱거려졌다. 그런 이후 한동안 신문이나 방송에서 감자 옹심이가 소개되면 “강원도 특산 음식이라면 모를까 강원도 별미라고 할 수는 없지” 하고 혼자 생각했다.
감자 옹심이를 다시 본 것은 강원도 생활상을 소개하는 TV 다큐멘터리 때문이었다. 산간에서 주식으로 저장해 두었던 감자는 정월을 넘기면 썩어 들어간다. 여기저기 시커메져 찌거나 해서는 도저히 먹을 수 없는 상태가 됐을 때 녹말로 만들어 빚어 먹던 것이 옹심이라는 것이다. 얼마 전 옹심이 전문점에서는 맛있게 먹었던 이유를 깨닫게 됐다. 상한 감자가 아닌 싱싱한 감자로 만드는 데 맛이 없을 수 있나.
강원도 원주로 귀농한 후배가 거둔 감자를 받았다. 어려운 시절을 겪는 동안 아무것도 도와주지 못한 친구다. 감자값만 달랑 보내려니 미안하다. 액수를 조금 더 붙여 보내려 생각해 봐도 미안하기는 마찬가지다. 그래서 보름이 넘도록 어쩌지 못하고 있다. 21세기에도 감자는 여전히 애틋한 먹거리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감자 옹심이를 다시 본 것은 강원도 생활상을 소개하는 TV 다큐멘터리 때문이었다. 산간에서 주식으로 저장해 두었던 감자는 정월을 넘기면 썩어 들어간다. 여기저기 시커메져 찌거나 해서는 도저히 먹을 수 없는 상태가 됐을 때 녹말로 만들어 빚어 먹던 것이 옹심이라는 것이다. 얼마 전 옹심이 전문점에서는 맛있게 먹었던 이유를 깨닫게 됐다. 상한 감자가 아닌 싱싱한 감자로 만드는 데 맛이 없을 수 있나.
강원도 원주로 귀농한 후배가 거둔 감자를 받았다. 어려운 시절을 겪는 동안 아무것도 도와주지 못한 친구다. 감자값만 달랑 보내려니 미안하다. 액수를 조금 더 붙여 보내려 생각해 봐도 미안하기는 마찬가지다. 그래서 보름이 넘도록 어쩌지 못하고 있다. 21세기에도 감자는 여전히 애틋한 먹거리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7-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