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사다리의 마지막 계단

[길섶에서] 사다리의 마지막 계단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4-12-13 02:21
수정 2024-12-13 02: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나라의 국민이 비상계엄의 밤을 보내고 당파로 갈린 정치를 보는 현실. 극단적 불균형의 세태다. 그 이유를 서구와 정반대로 걸어온 우리 현대사에서 찾는다.

유럽·미국의 근대화는 정치, 경제, 교육 순으로 진행됐다. 17~18세기 혁명을 거치며 시민권을 쟁취했고, 19세기 초까지 산업혁명으로 경제적 토대를 다졌다. 19세기 후반 산업화에 필요한 근로자 양성을 위해 공교육 체계가 자리잡았다. 정치적 자유, 경제적 풍요, 보통교육이라는 삼각축이 순차적으로 완성됐다.

해방 이후 한국의 발전 경로는 거꾸로였다. 한국전쟁의 잿더미 속에서도 학교를 보내는 교육열에 힘입어 전쟁이 끝난 지 6년 만인 1959년 초등 취학률 96%를 달성했다. 자라난 인재들이 ‘한강의 기적’을 이뤄 냈고 1987년 뒤늦게 정치혁명의 출발선에 섰다.

비상계엄으로 정치의 취약성이 또 드러났다. 하지만 서구의 정치혁명도 수백년에 걸친 지난한 과정을 거쳤다. 우리는 지금 거꾸로 놓인 사다리의 마지막 계단을 오르는 중이다.
2024-12-13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