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좋은 출판사를 넘어 위대한 출판사로/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문화마당] 좋은 출판사를 넘어 위대한 출판사로/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입력 2021-08-04 17:38
업데이트 2021-08-05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현대문학’ 800호가 나왔다. 1955년 1월 창간해 66년 8개월 동안 어림잡아 소설 4000편 이상, 시 6000편 이상, 산문 4000편 이상이 약 24만쪽 지면에 실렸다.

이남호 고려대 교수의 말처럼 “한국 현대문학의 팔만대장경”이라 부를 만한 위업이다. 무엇보다 이 잡지가 지면을 얻기 어려운 신인들에게 기회의 장을 열어 주었다는 것을 잊을 수 없다. 기념호에 실린 짧은 소설 35편과 시 36편은 그 다채로움의 압축일 것이다. 각자의 색깔로 문학의 하늘에 쏘아 올린 불꽃놀이 같았다.

열린책들 창립 35주년 기념 ‘세계문학 중단편 세트’도 출간됐다. 1986년 러시아 문학 전문 출판사로 시작해 외국 문학 출판에서 일가를 이룬 것을 기념했다. 카프카, 오웰, 헤밍웨이, 울프, 카뮈, 푸시킨, 조이스, 체호프 등 절정의 명작이 수록됐다. 외국 문학 출간은 곧 한국어의 확장이다. 우리와 다른 세계를 체험하고 상상하며, 우리가 생각지 못한 것을 사유하면서 우리 언어 세계가 풍부해지는 것이다. 독특한 세계를 확보한 수많은 작가가 그동안 이 출판사를 통해 국내 독자에게 첫선을 보였다.

얼마 전 나온 민음사 55주년 기념 도서는 ‘책 만드는 일’이라는 소책자였다. 1966년 5월 창사 이후 근무한 민음사 전현직 직원이 ‘책 만드는 일의 고통과 보람’을 성찰하고 기록했다. ‘글의 가치와 책의 정가라는 안과 밖의 조건’에서 ‘책을 거쳐 각자 가고 있는 자기만의 길’을 보여 줬다. 책을 통해 한 사람과 다른 사람을 이어서 ‘영원의 다리’를 놓으려는 ‘불멸의 메신저’인 편집자들의 목소리가 이 책에 수천 겹으로 메아리치고 있었다.

적당히 좋은 출판사, 한순간 주목받는 출판사는 많다. 책 하나가 우연히 ‘터지는’ 바람에 돈방석에 오른 출판사도 더러 있다. 그러나 시대를 뛰어넘어 오랫동안 번영하는 ‘위대한 출판사’는 극히 드물다.

‘위대하다’는 평가를 얻기도 어렵거니와, 설령 정음사나 삼중당처럼 위대한 출판사 반열에 올랐더라도 경영을 잘못하면 순식간에 사라질 수도 있는 게 현실이다. 또는 2세 경영으로 넘어가면서 타락하고 몰락해 존재감조차 없는 곳으로 전락하게 되는 일도 무수하다.

짐 콜린스의 ‘좋은 기업에서 위대한 기업으로’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좋은 성과를 낸 위대한 기업들은 단기 목표 달성을 위한 혁명적 변화를 자주 시도하기보다, 잘 훈련된 직원들이 큰 목표를 공유하면서 실적을 꾸준히 쌓아 간 곳이었다. 이들은 무엇보다 내부 인재를 중시하고, 다른 기업에서 실적을 낸 인재를 욕심내지 않았다. 또한 가혹한 현실 속에서도 고슴도치처럼 일관성 있게, 자신이 잘할 수 있는 한 가지 일에 집중했다.

위대한 출판사 역시 비슷할 것이다. 좋은 출판사를 넘어서 위대한 출판사가 되려면 무엇보다 출판의 한 분야에 집중하면서도 꾸준히 성공을 거두어야 한다. 이는 직원 전체가 공유하는 문화적 신념 없이 달성 불가능한 임무다.

단기 성과에 얽매여서 정체성을 저버린 채, 이 분야 저 분야를 기웃대고 유명 저자 확보에 몰두하면 곤란하다. 위대한 출판사는 위험을 견디면서 미래 가치를 지닌 낯선 저자한테 투자함으로써 자기 분야를 유망하게 만든다. 따라서 감식안이 있는 편집자를 길러 내고, 그가 마음껏 일할 수 있도록 장을 열어 주며, 오랫동안 그와 함께할 수밖에 없다. 한 분야에서 저자와 독자의 신뢰를 받는 전문 편집자의 존재는 무엇보다 중요한 성공 요소이기 때문이다.

올해 창비 역시 55주년을 맞고, 내년엔 문학동네가 30주년을 맞는다. 어려운 현실에서도 수많은 출판사가 위대한 출판사로 도약하려 애쓰고 있다. 모두에게 응원을 보낸다.
2021-08-05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