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민희 “이재명, 서울법대 안나와 어려움 겪어”…원희룡 측 “궤변”

최민희 “이재명, 서울법대 안나와 어려움 겪어”…원희룡 측 “궤변”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10-26 20:40
업데이트 2021-10-26 2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 전 민주당 의원, 서울대 출신이 많은 야당 대선 후보들과 검정고시 출신 이재명 후보 대비시켜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와 차담을 위해 청와대 상춘재로 들어서고 있다. 2021. 10. 26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와 차담을 위해 청와대 상춘재로 들어서고 있다. 2021. 10. 26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원희룡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측은 26일 최민희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겪고 있는 어려움은 서울법대를 안 나왔기 때문”이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이 후보 문제의 핵심을 피해가려는 일종의 기만”이라고 비판했다.

원 후보 캠프 이준형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이 후보의 어려움은 스스로 자초한 일”이라며 “지금 드러나고 있는 대장동-백현동 게이트는 모든 증거와 정황이 이 후보를 향해 있다. 형수 욕설 사건을 포함해 도덕성만 보더라도 건국 이후 가장 심각한 하자를 안고 있는 대선 후보”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이같은 문제를 외면하고 학벌 운운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라고 비판했다.
이미지 확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6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故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2021. 10. 26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6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故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2021. 10. 26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또 “민주당의 정신이라 일컫는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도 서울법대 출신이 아니다”라며 “최 전 의원의 발언은 고졸 출신이지만 대통령까지 오른 두 전직 대통령의 정치역정을 부정하는,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민주화운동에 매진하며 정의를 부르짖던 기자 최민희는 어디에 가고, 궤변으로 일관하는 학벌주의자 최민희만 남았나”라며 “최 전 의원은 어떠한 수사로 설명하려 해도 이재명 후보의 민낯은 가려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최 전 의원은 지난 25일 KBS라디오 ‘주진우 라이브’에 출연해 “서울대 중심의 기득권 엘리트들이 검정고시 출신의 여당 대권 후보를, 그 꼴을 정말 못 봐주는구나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미지 확대
국민의힘 원희룡(왼쪽), 홍준표 대선 경선 후보가 2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해 현충탑 참배를 하고 있다.2021. 10. 26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국민의힘 원희룡(왼쪽), 홍준표 대선 경선 후보가 2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해 현충탑 참배를 하고 있다.2021. 10. 26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이 후보는 검정고시를 거쳐 중앙대 법대를 졸업하고, 1986년 제28회 사법고시에 합격했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가운데 윤석열, 원희룡, 유승민 후보는 서울대 출신이며, 홍준표 후보는 고려대를 졸업했다.

앞서 최 전 의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S대 법대 출신들이 이런 농담을 한다는 기자의 전언. 한국엔 두 개의 대학이 있다. S대와 비S대. 세 개의 대학이 있다. S대 법대, 비법대 S대, 비S대…웃픈 ‘계급론’이다”라며 한국 사회의 학력 차별에 대해 글을 쓴 바 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