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불교 문구에서 가장 가까운 가구로… ‘경상’의 모든 것

불교 문구에서 가장 가까운 가구로… ‘경상’의 모든 것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10-02 17:28
업데이트 2022-10-03 0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상, 귀를 올리다’ 전시회
두루마리 떨어지는 것 막아
취향·권위 알려 주는 역할도

이미지 확대
경상(위)과 서안(아래).
경상(위)과 서안(아래).
책상에 두루마리 형태의 경전을 올려놓으면 쉽게 굴러떨어진다. 책상의 양 끝인 귀를 올리자 두루마리가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사소한 아이디어처럼 보이지만 널리 퍼지면서 생활 깊이 문화로 자리잡게 됐다. 바로 ‘경상’(經床)이다.

서울 종로구 북촌박물관에서 지난달 21일 개막한 전시회 ‘경상, 귀를 올리다’에서는 경상 13점을 비롯해 목가구 60여점을 볼 수 있다. 경상은 한반도에 불교가 전해지면서 사용된 가구로 알려져 있다. 두루마리 경전이 굴러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찰에서 처음 쓰였는데, 불교 국가였던 고려에서는 왕실과 귀족 계층에서도 경상을 사용했다. 이런 흐름은 유교 국가인 조선으로 이어져 부유한 양반 계층도 경상을 사용했다.

전시는 1부 ‘생활로 스며들다’, 2부 ‘중심에 놓이다’, 3부 ‘취향이 드러나다’로 구성돼 경상의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1부는 불교 문구였던 경상이 생활 속에 스며든 이야기를 담았다. 양쪽 귀가 없는 일직선 형태의 서안(書案)이 나란히 전시돼 경상 양쪽 끝 곡선의 효용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서안에 귀를 붙여 경상으로 만든 것도 있었다.

2부에선 사랑방에 놓인 경상의 역할을 알 수 있다. 다른 가구들은 가장자리에 붙어 있는 형태로 배치됐지만, 경상은 방 가운데에 놓여 주인과 손님의 자리를 확인시켜 주는 구실을 했다. 북촌박물관 관계자는 “사랑방 한가운데서 주인과 가장 가까운 가구이다 보니 주인의 취향과 권위를 알려 주는 역할도 했다”고 설명했다.

3부로 가면 ‘전국경상자랑’을 보는 것 같다. 제작자의 필요와 재능에 따라 경상에 더해진 화려함은 책보다 책상에 빠져 과거 공부를 못 했을 양반들을 상상하게 만드는 재미가 있다. 자물쇠가 달려 책을 보는 본래의 용도보다 책을 감추는 부차적인 용도가 더 돋보이는 경상도 눈에 띄었다.

단순하고 크지 않은 물건이지만 다양한 경상은 당시 사람들의 방 안 풍경과 가치관을 보여 준다. 박물관 관계자는 “불교에서 사용한 경상부터 일반 사랑방 경상까지 한 공간에 모아 보여 주는 전시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오는 11월 30일까지.
글·사진 류재민 기자
2022-10-03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