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인권 증진에 앞장… 한미 잇는 가교 역할 해야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2-06 01:51 미국·중남미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한국계 영김 美 하원 외교위 인태소위원장 첫 선출

재선 의원으로는 파격 발탁
中위구르족 인권법 등 주도

영 김 하원의원(공화당) AP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영 김 하원의원(공화당)
AP 연합뉴스

“세계 인권을 증진하고, 자유를 사랑하는 국가를 지지하며, 동맹국과의 자유무역을 강화하겠습니다.”

한국계로는 처음으로 한미 외교 현안을 다루는 미국 외교위원회 산하 인도태평양소위원회(인태소위) 위원장으로 선출된 영 김 하원의원(공화당)이 “적들에게는 책임을 추궁하겠다”며 지난 3일(현지시간) 소감을 밝혔다.

그는 이어 “인태 지역에서 미국의 외교정책 결정은 미국의 미래를 결정하고 미국이 세계 무대에 서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한미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공화당 소속 마이클 매콜 하원 외교위원장은 “이 지역(인태)에서 중국 공산당의 강압과 공격적인 행위에 책임을 묻고, 미국과 대만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 등에 있어 김 소위 위원장과 함께 일할 것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지난 117대 의회에서 ‘아시아·태평양·중앙아시아·비확산소위’가 이번 118대 의회에서 ‘인도태평양소위원회’로 이름을 바꿨다. 불과 재선인 김 의원이 인태소위 위원장에 선출된 것 자체도 파격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인천 출신인 김 의원은 1975년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 하원 외교위원장을 지낸 ‘친한파’ 에드 로이스 전 하원의원의 보좌관으로 20년 넘게 일했고, 초선 때부터 하원 외교위에서 활약했다.

당시 아시아태평양소위 공화당 간사와 중국 태스크포스(TF) 위원으로 활동했고, 한국전쟁 때 가족과 헤어진 한국계 미국인의 이산가족 상봉과 북한 인권 문제 등에 집중했다.

대만, 한국, 일본 등 동맹국에 미국의 무기 인도를 촉진하는 법안, 중국 소수민족인 위구르족에 대한 인권 지원법 등의 처리도 주도했다.

김 의원 외 3명의 한국계 의원도 한미 간 현안을 다루는 상임위원회에 배정됐다. 3선인 민주당의 앤디 김 의원은 외교위원회와 군사위원회에서 활동할 예정이고, 역시 민주당 소속인 매릴린 스트리클런드 의원은 군사위에서 일하게 됐다. 공화당 소속 미셸 박 스틸 의원은 하원 중국 특별위원회에 앤디 김 의원과 함께 배정됐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2023-02-06 20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