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나박자박 나박자박/이은선 소설가

[문화마당] 나박자박 나박자박/이은선 소설가

입력 2023-02-09 01:06
업데이트 2023-02-09 0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은선 소설가
이은선 소설가
“생속의 반대말은 썩은속이었다. 속이 썩어야 세상에 관대해질 수 있었다. 산다는 건 결국 속이 썩는 것이고 얼마간 세상을 살고 난 후엔 절로 속이 썩어 내성이 생기면서 의젓해지는 법이라고 배추적을 먹는 사람들은 의심 없이 믿었던 것 같다.”(김서령 ‘외로운 사람끼리 배추적을 먹었다’ 중에서)

“늬가 배추전 맛을 알간디?” “그러엄! 이제 나도 마흔인데, 할머니?” “니가? …왜?” 할머니와 함께 텃밭에서 봄동 몇 포기를 삽으로 퍼오던 길이었다. 내 삶 전체를 지켜본 할머니 입장에서는 마흔이라는 나이와 내 입맛의 변화를 쉽게 체감하기 어려우셨겠지만,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벌써’도 아니고 ‘왜’라니. 언 땅에서 봄동의 뿌리를 삽으로 자르며 나누던 대화치고는 다소 엉뚱했지만, 밭에서 막 뽑아 온 봄동 전은 그야말로 환상이었다. 바로 여기에 곁들일 나박김치 담그는 법을 배우러 간 터였다.

작년 가을에 강원도 원주에서 진행된 할매발전소의 ‘알아차림전’은 무학의 할머니들을 학교에 모셔 그들의 삶을 재조명한 폐교 테마 프로젝트였다. 마을 전체가 들썩인 것은 물론이고, 내 마음도 팔딱거렸다. 할매발전소를 꾸린 로컬리티 팀의 석양정 작가는 “밥상은 일상적이면서도 고유한 기억을 담은 매체”라는 말로 할머니들의 일생과 일상, 밥상을 널리 퍼뜨렸다. 전시를 보고 나오며 나는 내 속에서 출렁거리는 할머니의 나박김치 국물을 떠올렸다. 어째서 여태 그것을 기록할 생각을 못 했던 걸까.

이맘때가 되면 겨우내 바람 들지 않게 잘 갈무리해 두었던 무와 알배기 배추, 그리고 집 주변의 밭에서 그때까지도 속은 제대로 살아 있는 야채들을 뚝뚝 잘라 와 국물 자작하게 나박자박 담가 주던 할머니의 나박김치는 내게 가히 우주 최고의 국물김치였다. 떡국에 나박김치 한 사발, 배추전에 나박김치 한 사발. 그거면 2월을 풍족하게 날 수 있는 힘이 생겼다. 정월대보름 이쪽저쪽 곁들이는 귀밝이술을 마신 다음날의 해장은 또 어떻고.

그 와중에 딸아이는 증조할머니 등에 매달렸다가 내 팔을 붙들고 늘어지며 안으라 업으라 일어나라며 아주 총체적인 난국을 만드는 중이었다. 결국 나는 나박김치 담그는 법 배우기를 포기한 채 할머니의 모습을 동영상으로 기록했다.

물론 매년 간이 세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물 조금 타면 옛날 그 맛이 돋아나니까 상관없다. 김서령 선생이 살아 계시다면 기꺼이 그에게 배추적을 청하고, 우리 할머니의 나박김치 한 사발을 들고 가 한 상 조붓하게 차려 내고 싶은 날이다. 나는 언제까지라도 모르고 싶은 썩은속과 알배추 속 같은 노란 속내를 기꺼이 내보이며 권커니 잣커니 이제는 입춘도 지났으니 정말로 새해가 시작된 거라는 말로 한 해를, 할머니와 내년의 나박김치 담그기 행사를 약속해 보고 싶은 것이다.

오래 못 보고 산 사람들, 먼저 간 사람들을 그 상 주변에서 만나고 싶다. 말없이 건네는 김칫국물이면 다 되는 그런 마음을 배추전에 곁들일 수만 있다면. 그리하여 내게는 언제까지라도 그것은 2월의 맛이고 붉은 멋이며, 2월의 삶이 지져지는 소리다. 썩은 속은 풀어지고 생속이 도드라지는 시간, 그 누구라도 이 땅의 할머니 손맛에서 어떤 위로를 받는 김칫국물과 삶이 우러나는 소리. 생속이 여며지는 그 자리의 나박자박 나박자박.
2023-02-09 26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