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는 최대 투자자인 사우디 국책은행이 추가 투자를 하지 않겠다고 최근 선언하면서 급격히 흔들리기 시작했다. 이어 나온 ‘회계 문제’가 치명타가 됐다. CS 악재의 폭발성은 틈새 중소 은행인 SVB에 견줄 바가 못 된다. 자산 규모만 650조원이 넘는 세계 9대 투자은행이다. 그래서 오히려 파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대마불사론’이다. 하지만 지금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대응 카드를 준비해야 한다. SVB와 달리 CS는 국내 기업 및 금융사와의 거래도 매우 많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다음은 어디냐”가 여전히 주된 화두다.
‘도미노 파산’을 피한다고 해도 금융사들의 위험 회피 경향으로 대출 축소 등 당분간 시장 경색은 불가피해 보인다. 우리 금융당국도 ‘디지털 뱅크런’(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규모 예금 인출) 같은 새로운 리스크 형태에 대한 대응 조치, 예금 전액 보호 조치의 득실, 가용 외환보유액 등 모든 카드를 미리 점검하고 언제든 꺼내 쓸 채비를 끝내 놓아야 한다. CS와 SVB 사태의 공통점 중 하나는 정부 대처가 무척 빨랐다는 점이다. 집단불안 심리는 과도한 신용 경색을 부르고 한 박자 늦은 대처는 시장의 불안을 증폭시킨다는 교훈을 우리는 멀리 갈 것도 없이 지난해 가을 레고랜드 사태 때 혹독하게 겪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