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비슷하지만 다른, 한중일 차 문화의 매력/셰프 겸 칼럼니스트

[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비슷하지만 다른, 한중일 차 문화의 매력/셰프 겸 칼럼니스트

입력 2023-03-29 00:50
업데이트 2023-03-29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어떤 음식에 대한 불호를 표현할 때 흔히 ‘대체 무슨 맛으로 먹는지 잘 모르겠어’란 말을 쓴다. 몸서리치게 싫은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특별히 좋아하지도 않는다는 뜻이다. 다른 사람들이 맛있다고 해도 심적으로나 미적으로 딱히 좋은 느낌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땐 두 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영원히 거리를 두는 길, 다른 하나는 정말 좋은 걸 경험해 보고 난 후 점점 빠져드는 길이다.

고백하건대 진가를 느껴 보기 전까지 차를 도대체 무슨 맛으로 마시는지 잘 몰랐다. 강렬하고 인상적인 커피의 세계에 비해 차는 풍미가 단조롭고 격식은 지루해 보였다. 일상에서 맛보는 차라고 해 봐야 현미녹차 정도가 다였으니 말이다. 향기로우면서 청아한 우롱차를 처음 맛보고 난 후 차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차의 정점이라고 하는 보이차, 다채로운 매력의 홍차 등 차에 대한 경험을 점차 넓히던 중 일본 차를 만났다. 가루 형태로 된 진한 녹색의 말차를 처음 접했을 때의 인상은 ‘도대체 무슨 맛인가’였다. 여태 맛보고 즐기던 차와는 너무 달랐기에 당혹스러웠던 첫 만남이었다.
이미지 확대
일본의 유명 녹차 산지인 후쿠오카의 티 살롱 야마시나에서 차를 만드는 모습(왼쪽 사진). 차 가루에 뜨거운 물을 붓고 거품을 내 마시는 말차(가운데)는 원래 중국 송나라 때 유행했다가 사라진 방식으로 현재는 주로 일본에서 만날 수 있다. 일본식 녹차인 센차(오른쪽)는 진한 녹색과 해조류를 연상시키는 감칠맛이 특징이다.
일본의 유명 녹차 산지인 후쿠오카의 티 살롱 야마시나에서 차를 만드는 모습(왼쪽 사진). 차 가루에 뜨거운 물을 붓고 거품을 내 마시는 말차(가운데)는 원래 중국 송나라 때 유행했다가 사라진 방식으로 현재는 주로 일본에서 만날 수 있다. 일본식 녹차인 센차(오른쪽)는 진한 녹색과 해조류를 연상시키는 감칠맛이 특징이다.
차 가루를 뜨거운 물에 개어 마시는 방식인 말차는 일본식 차의 한 종류로 알려져 있지만 차의 역사에서 보자면 송나라 시대의 유산이다. 태고 때 차는 새순을 생으로 씹어 먹거나 짓이겨 상처에 바르는 약초의 형태로 쓰였다. 그러다 어느 시기에 이르러 물에 넣어 먹는 방식으로 소비하기 시작했는데 초기에는 향신료나 파, 대추, 생강 등 다른 재료와 함께 달여낸 일종의 탕국에 가까웠다.

중국에서 차가 본격적인 기호식품이자 음료로 유행하게 된 건 7세기경 당나라 때다. 차를 보존과 운송이 용이하게 구멍 뚫린 호떡 모양으로 단단하게 가공해 유통했다. 차를 뜯어 절구에 빻아 가루로 만들었다. 물이 끓으면 소금을 넣고 다시 끓으면 차 가루를 넣어 달였다. 이렇게 만든 차는 국자로 퍼서 다구에 옮겨 마시는 게 일반적이었다.

송으로 넘어가면서 오늘날 일본의 말차 같은 방식으로 차 마시는 유행이 바뀌었다. 가루 낸 녹차를 냄비 대신 사발에 넣어 뜨거운 물을 붓고 휘저어 가며 차를 우렸다. 이때 다른 재료를 첨가하지 않고 차 본연의 순수한 맛을 즐기기 시작했다는 의미도 있다. 15세기 명나라 시기에는 작은 찻잎을 썼다. 동아시아에서 중국이 강대해지면서 주변국에 영향을 끼쳤는데 차 문화도 그중 하나였다. 주로 불교 승려들과 유학생을 통해 당시 차 문화가 전파됐다. 신라 말기 문인인 최치원은 당나라에 거주하면서 고국에 있는 가족에게 차와 약을 보냈다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일본 후쿠오카의 티 살롱 야마시나는 규슈 지역에서 생산되는 여러 차를 수집하고 가공해 다양한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일본 후쿠오카의 티 살롱 야마시나는 규슈 지역에서 생산되는 여러 차를 수집하고 가공해 다양한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오늘날 중국과 한국, 일본에서 차를 즐기는 방식은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있다. 한국과 일본에선 주로 발효하지 않은 녹차를, 중국에서는 녹차와 발효차를 즐긴다. 만드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녹차의 경우 일반적으로 차를 따는 ‘채엽’, 열을 가하는 ‘살청’, 찻잎을 비벼내는 ‘유념’,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네 단계를 거쳐 만든다. 생산자의 의도에 따라 열을 가하는 살청 방식은 고온에서 볶는 ‘덖는’ 과정을 거치거나 수증기를 쐬어 ‘찌는’ 과정을 거치는데 한국은 전통적으로 딴 찻잎을 가마솥에 넣어 덖고, 일본은 증기로 쪄낸다. 보이차로 대표되는 발효차는 딴 찻잎을 일부러 시들게 한 후 살청 과정에 들어간다.

차를 만드는 방식에 따라 결과물의 개성이 다르다는 게 차의 매력 중 하나다. 차를 즐기는 요소는 크게 세 가지다. 향과 색 그리고 맛. 중국은 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차를 다루는 기구인 다구 중 향을 맡기 위한 별도의 잔이 있을 정도다. 일본의 경우 차의 색과 맛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찌는 방식으로 만든 녹차는 덖어낸 차보다 싱그러운 풀 향이 더 강하고 해조류에서 나오는 감칠맛을 느낄 수 있다. 진한 녹색을 가진 말차의 경우 찻잎에 든 엽록소를 그대로 마시는 듯한 기분을 선사한다. 한국의 녹차는 중국과 일본의 중간 정도라고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중국 쪽에 더 가깝다. 화려하거나 강한 중국의 향미보다 은은한 향과 색 그리고 맛을 즐기는 듯하다.

이렇다 보니 마시는 방법 또한 차이가 난다. 만약 중국이든 일본이든 선물 받은 녹차를 우려 마셨는데 도통 무슨 맛으로 먹는지 모르겠는 경험을 했다면 차의 특성을 모른 채 잘못된 방식으로 차를 우려냈을 가능성이 높다. 뜨거운 물에도 적정 온도가 있다. 중국과 한국의 녹차는 70~80도, 쪄낸 일본 녹차의 경우 그보다 조금 낮은 70도 정도 온도의 물로 짧게 우려내야 녹차가 가진 섬세하고 우아한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물을 끓이고 나면 명상하듯 숨을 고르며 물이 식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방법이다. 빨리빨리나 성급함은 차를 제대로 즐기는 데 가장 방해되는 요소임을 잊지 말자.
2023-03-29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