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구멍 하나 뚫기 참 힘드네...드릴 비트의 세계[김기자의 주말목공]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5-27 09:00 주말목공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여러 비트가 담긴 공구통. 상황에 맞는 드릴 비트를 골라서 써야 한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여러 비트가 담긴 공구통. 상황에 맞는 드릴 비트를 골라서 써야 한다.

목공을 처음 배울 땐 별것이 다 신기하게 느껴진다. 목재에 구멍을 뚫는 일이 그랬다. 전동 드릴에 날붙이를 물린 뒤 힘주어 드르륵 밀고 가면 뿅 하고 생기는 구멍이라니. 목재에 구멍을 뚫는 건 네모 성질의 목재에 이질적인 동그라미를 그리는 일이다. 이 마법과도 같은 원을 만드는 데 필요한 게 전동 드릴에 물리는 날붙이를 일컫는 ‘드릴 비트’다.

목공용 드릴 비트 종류가 꽤 많다. 그냥 구멍을 뚫을지, 나사못을 박을 구멍을 뚫을지, 경첩을 붙일 구멍을 뚫을지 등 용도에 맞춰 적절한 비트를 골라야 한다.

가장 흔하게 쓰는 게 ‘브래드 포인트(brad point)’ 드릴 비트다. 브래드는 ‘가는 못’이라는 뜻인데, 비트 앞부분이 못처럼 뾰족하게 튀어나와 붙인 이름이다. 이 부분으로 구멍 내려는 곳 중심을 콕 찍은 뒤 쓴다. 일반적으로 굵기 2~12㎜ 정도가 있다.

전동 드릴에 끼워 쓰기도 하고, 손잡이가 달린 목공 기계인 ‘드릴 프레스’에 물려 사용한다. 전동 드릴에 물리는 부분을 뜻하는 ‘섕크(shank)’ 부분이 육각인 비트도 있다.
왼쪽부터 브래드 포인트 비크, 카운터 싱크 비트, 오거 비트. 각 제조사 제공. 사진 아마존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왼쪽부터 브래드 포인트 비크, 카운터 싱크 비트, 오거 비트. 각 제조사 제공. 사진 아마존

일반적으로 목재와 목재를 결합할 때 나사못을 써서 체결한다. 그런데 나사못을 바로 박으면 목재 결이 찢어지며 터져버릴 수 있다. 그래서 속 날로 미리 구멍을 내어놓는데, 이를 ‘프리 홀(pre-hole)’이라고 부른다.

나사못에 특화한 제품으로 ‘카운터싱크(countersink)’ 드릴 비트를 꼽을 수 있다. ‘카운터싱크’는 ‘V’자 모양 구멍을 뜻한다. 구멍을 뚫고 접시 머리 나사못을 박으면 V자 홈에 딱 맞아 표면이 평평해져 보기가 좋다.

카운터싱크 드릴 비트에 속 날을 끼운 비트를 ‘이중 드릴 비트’라고 한다. 긴 나사못을 쓸 때 속 날을 길게 빼서 쓰는 식으로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다. 프리 홀을 뚫는 속 날은 3㎜를 주로 쓴다. 다만 얇은 비트는 중간에 구멍을 뚫다가 방향을 살짝만 바꿔도 잘 부러지니 유의하시길. 3㎜ 브래드 포인트 비트를 꼽아 쓰다 중간에 뚝 부러지면 빼기가 어렵다.
깊이 조절식 이중 드릴 비트의 사용법. 자료 제공 이젠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깊이 조절식 이중 드릴 비트의 사용법. 자료 제공 이젠

최근엔 용수철을 단 스토퍼를 장착해 카운터싱크 부위 깊이까지 조절할 수 있는 ‘깊이 조절식 이중 드릴 비트’를 많이 쓴다. 속 날 길이는 물론, 나사못 머리가 들어갈 깊이까지 조절할 수 있어 아주 편리하다. 조금 깊게 파서 남은 공간에 목심을 넣고 본드로 붙인 뒤 남은 부분을 잘라내면 깔끔하다. 여러모로 쓸모가 많으니 하나쯤 갖춰두길 권한다.

‘오거(auger) 비트’는 나사산이 굵고 산의 각도도 커서 파고드는 힘이 강하다. 한 번 파고들면 손으로 돌려 빼기 어려울 정도다. 전동 드릴에 물려서 쓰는데, 18V용 전동 드릴에 끼워 쓸 수 있는 굵은 오거 비트를 비롯해 다양한 굵기가 있다.

파고드는 힘이 워낙 세기 때문에 드릴 프레스에 물려 쓰다간 자칫 다칠 수 있다. 드릴 프레스에 끼워 쓰면 목재가 빙빙 회전하며 딸려 오거나 튈 수 있다.

좀 더 큰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드릴 비트를 살펴보자. ‘포스너(fostner) 비트’는 2개 내지는 3개의 날을 원통으로 감싼 형태의 비트다. 스페이드 비트보다 굵기가 굵어 힘이 더 좋다. 그래서 전동 드릴보다 드릴 프레스에 주로 물려 쓴다.

‘스페이드(spade) 드릴 비트’는 머리가 트럼프 카드 스페이드와 모양이 비슷해 이런 이름을 붙였다. 홈을 내거나 구멍을 팔 때 쓰는데, 날이 얇아 하드 우드에 구멍을 낼 때 다소 무리가 간다. 그래도 날이 날카로워 구멍이 깔끔하게 뚫리는 게 장점이다.

포스너 비트와 스페이드 드릴 비트 모두 치수가 다양하게 나온다. 여러 치수 비트를 묶어 저렴하게 파는 세트를 기본으로 하나 사두고, 필요에 따라 경첩용(35㎜), 양초 홈 파기용(40㎜), 시계 삽입 홈 파기용(75㎜) 등 용도에 맞는 비트를 필요할 때 사는 게 좋다.

포스너 비트, 스페이드 드릴 비트, 홀쏘. 사진 아마존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포스너 비트, 스페이드 드릴 비트, 홀쏘. 사진 아마존

‘홀쏘(hole saw)’는 말 그대로 구멍을 내는 톱이라 보면 된다. 전동 드릴이나 드릴 프레스에 끼워 원형으로 깎아내는 비트이다. 구멍은 뚫을 수 있지만, 포스너 비트나 스페이드 비트와 달리 홈을 내지는 못한다.

조금 특이한 용도로 쓰는 드릴 비트도 있다. ‘경첩용 센터 드릴 비트’는 말 그대로 경첩 달 때 쓰는 홈을 내준다. 경첩은 대개 지름 30㎜ 홈을 파고, 경첩 철물을 넣은 뒤 구멍에 나사못을 넣어 조인다. 이 나사못 구멍 위치가 어긋나면 경첩이 잘못 부착될 수 있다. 그래서 경첩에 닿는 부분을 좁고 둥글게 만들고, 용수철을 이용해 적절히 팔 수 있도록 했다.

끝으로 드릴 비트는 아니지만, 센터펀치는 있으면 좋은 도구다. 용수철을 내장한 제품으로, 꾹 누르면 ‘탕​’ 소리를 내며 목재에 작은 홈을 내준다. 여기에 드릴 비트를 겨냥해 구멍을 뚫으면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고 정확히 구멍을 낼 수 있다. 날이 무딘 송곳을 대용으로 써도 무방하다.

관심은 가지만 섣불리 시작하기 어려운 목공. 해보고는 싶은데 어떨지 잘 모르겠다면 일단 한 번 글로, 눈으로 들여다보세요. 주말이면 공방에서 구슬땀 흘리는 김기중 기자가 목공의 즐거움을 이야기합니다. ‘김기자의 주말목공’은 매주 토요일 아침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김기중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