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공용 드릴 비트 종류가 꽤 많다. 그냥 구멍을 뚫을지, 나사못을 박을 구멍을 뚫을지, 경첩을 붙일 구멍을 뚫을지 등 용도에 맞춰 적절한 비트를 골라야 한다.
가장 흔하게 쓰는 게 ‘브래드 포인트(brad point)’ 드릴 비트다. 브래드는 ‘가는 못’이라는 뜻인데, 비트 앞부분이 못처럼 뾰족하게 튀어나와 붙인 이름이다. 이 부분으로 구멍 내려는 곳 중심을 콕 찍은 뒤 쓴다. 일반적으로 굵기 2~12㎜ 정도가 있다.
전동 드릴에 끼워 쓰기도 하고, 손잡이가 달린 목공 기계인 ‘드릴 프레스’에 물려 사용한다. 전동 드릴에 물리는 부분을 뜻하는 ‘섕크(shank)’ 부분이 육각인 비트도 있다. 일반적으로 목재와 목재를 결합할 때 나사못을 써서 체결한다. 그런데 나사못을 바로 박으면 목재 결이 찢어지며 터져버릴 수 있다. 그래서 속 날로 미리 구멍을 내어놓는데, 이를 ‘프리 홀(pre-hole)’이라고 부른다.
나사못에 특화한 제품으로 ‘카운터싱크(countersink)’ 드릴 비트를 꼽을 수 있다. ‘카운터싱크’는 ‘V’자 모양 구멍을 뜻한다. 구멍을 뚫고 접시 머리 나사못을 박으면 V자 홈에 딱 맞아 표면이 평평해져 보기가 좋다.
‘오거(auger) 비트’는 나사산이 굵고 산의 각도도 커서 파고드는 힘이 강하다. 한 번 파고들면 손으로 돌려 빼기 어려울 정도다. 전동 드릴에 물려서 쓰는데, 18V용 전동 드릴에 끼워 쓸 수 있는 굵은 오거 비트를 비롯해 다양한 굵기가 있다.
파고드는 힘이 워낙 세기 때문에 드릴 프레스에 물려 쓰다간 자칫 다칠 수 있다. 드릴 프레스에 끼워 쓰면 목재가 빙빙 회전하며 딸려 오거나 튈 수 있다.
좀 더 큰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드릴 비트를 살펴보자. ‘포스너(fostner) 비트’는 2개 내지는 3개의 날을 원통으로 감싼 형태의 비트다. 스페이드 비트보다 굵기가 굵어 힘이 더 좋다. 그래서 전동 드릴보다 드릴 프레스에 주로 물려 쓴다.
‘스페이드(spade) 드릴 비트’는 머리가 트럼프 카드 스페이드와 모양이 비슷해 이런 이름을 붙였다. 홈을 내거나 구멍을 팔 때 쓰는데, 날이 얇아 하드 우드에 구멍을 낼 때 다소 무리가 간다. 그래도 날이 날카로워 구멍이 깔끔하게 뚫리는 게 장점이다.
포스너 비트와 스페이드 드릴 비트 모두 치수가 다양하게 나온다. 여러 치수 비트를 묶어 저렴하게 파는 세트를 기본으로 하나 사두고, 필요에 따라 경첩용(35㎜), 양초 홈 파기용(40㎜), 시계 삽입 홈 파기용(75㎜) 등 용도에 맞는 비트를 필요할 때 사는 게 좋다.
‘홀쏘(hole saw)’는 말 그대로 구멍을 내는 톱이라 보면 된다. 전동 드릴이나 드릴 프레스에 끼워 원형으로 깎아내는 비트이다. 구멍은 뚫을 수 있지만, 포스너 비트나 스페이드 비트와 달리 홈을 내지는 못한다.
조금 특이한 용도로 쓰는 드릴 비트도 있다. ‘경첩용 센터 드릴 비트’는 말 그대로 경첩 달 때 쓰는 홈을 내준다. 경첩은 대개 지름 30㎜ 홈을 파고, 경첩 철물을 넣은 뒤 구멍에 나사못을 넣어 조인다. 이 나사못 구멍 위치가 어긋나면 경첩이 잘못 부착될 수 있다. 그래서 경첩에 닿는 부분을 좁고 둥글게 만들고, 용수철을 이용해 적절히 팔 수 있도록 했다.
끝으로 드릴 비트는 아니지만, 센터펀치는 있으면 좋은 도구다. 용수철을 내장한 제품으로, 꾹 누르면 ‘탕’ 소리를 내며 목재에 작은 홈을 내준다. 여기에 드릴 비트를 겨냥해 구멍을 뚫으면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고 정확히 구멍을 낼 수 있다. 날이 무딘 송곳을 대용으로 써도 무방하다.
관심은 가지만 섣불리 시작하기 어려운 목공. 해보고는 싶은데 어떨지 잘 모르겠다면 일단 한 번 글로, 눈으로 들여다보세요. 주말이면 공방에서 구슬땀 흘리는 김기중 기자가 목공의 즐거움을 이야기합니다. ‘김기자의 주말목공’은 매주 토요일 아침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김기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