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대상 여론조사…14% “혼자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
중·고생 등 청소년들의 행복도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뉴스1 자료사진.
조사결과,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절반 수준인 53.7%(매우 행복하다 22.6%, 조금 행복하다 31.1%)에 그쳤다.
이는 2011년 11월 벌인 같은 조사에서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낀 비율 58.6%와 견줘 4.9%포인트(P) 떨어진 것이다. 특히 고교생의 행복도는 2011년 56%에서 2017년 47%로 9%P 급감했다.
행복은 성적순이라는 말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70.4%로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10명 중 3명꼴인 28.9%는 ‘동의한다’고 답했다.
실제로 학생들이 느끼는 행복도도 성적순이었다. 1∼2등급 학생들은 60.7%가 행복하다고 답했고 3∼4등급(59.8%), 5∼7등급(48.1%), 8∼9등급(39.3%)으로 갈수록 행복하다는 응답이 적었다.
경제적으로 상층이라고 응답한 청소년의 행복도는 64.2%지만 중간층과 하층의 행복도는 각각 58.5%와 28.4%로 나타나 경제력과 행복도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누구와 함께 있을 때 행복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친구’(47.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25.8%), 이성 친구(7.9%), SNS에서 만난 사람(1.6%) 등 순이었고 선생님·멘토라는 응답은 0.8%에 불과했다. 혼자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는 응답은 14.2%였다.
청소년들이 꿈꾸는 행복한 세상은 ‘자기 가치에 충실하고 자기 꿈을 펼칠 수 있는 세상’(43.8%), ‘차별을 받지 않는 세상’(15%),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세상’(11.2%), ‘기회나 경쟁이 공정한 세상’(10.2%)이었다.
행복세상은 “고교생의 행복도가 급락한 것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 20대의 행복도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과 같은 현상”이라며 “20대뿐 아니라 중고생들도 불확실한 미래로 행복도가 떨어지는 동조현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성적 차로 인한 행복감 격차는 2011년 조사 때보다 줄었지만, 경제적 계층에 따른 행복감 격차는 더 커졌다”면서 “친구와 함께 있을 때 행복하다는 응답도 2011년 조사 당시 31%보다 16.5%나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46%P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