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은 장기적 울분 상태
30대 ‘심각 울분’ 노령층의 4배
우리 국민 중 절반은 장기적인 울분 상태에 놓여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자꾸 반복적으로 생각나고 생각할 때마다 화가 나며 자신을 탓하게 되는 울분에는 모욕감이나 세상이 공정하지 않다는 생각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 10명 중 1명은 답답하고 분한 상태가 심각한 수준이었고 연령별로는 30대가 특히 높은 수준의 울분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의 울분과 사회·심리적 웰빙 관리 방안을 위한 조사’의 주요 결과를 27일 공개했다. 조사는 지난 6월 12~14일 만 18세 이상 전국 남녀 102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95% 신뢰 수준에 표본 오차는 ±3.1% 포인트다.
연구진은 ‘울분’을 부당하고 모욕적이며 신념에 어긋나는 것으로 여겨지는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으로 규정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49.2%는 중간 수준 이상의 울분을 느끼거나 그런 감정이 지속되는 장기적인 울분 상태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수준의 울분을 겪는 응답자는 9.3%였다.
특히 30대는 ‘심각한 울분’을 겪는 경우(13.9%)가 60대 이상(3.1%)보다 4배 이상 많았다. 연령별로 볼 때 가장 높은 수준이다. 공정함에 대한 믿음의 점수는 60대 이상이 3.42점이지만 20대와 30대는 3.13점으로 가장 낮았다. ‘세상이 공정하지 않다’고 보는 20~30대 중 울분 상태인 경우가 특히 많다는 얘기다.
사회경제적 여건상 자신을 ‘하층’이라고 인식하는 이들 중 60.0%는 장기적 울분 상태에 해당했다. 반면 자신을 ‘상층’으로 인식하는 이들은 장기적 울분 상태인 경우가 38.5%였다.
또 최근 1년 새 가족이나 지인, 기관 등에서 모욕이나 부당한 취급을 당하는 등 부정적 사건을 하나라도 경험한 이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울분의 정도가 심했다. 울분을 일으키는 사회정치적 사안으로는 안전관리 부실로 초래된 참사, 납세의무 위반(탈세·기피), 정당이나 정부의 부도덕과 부패 등이 꼽혔다.
2024-08-2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