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80만장 팔린 기후동행카드…썩는 데 1000년 걸리는 PVC로 제작

[단독]80만장 팔린 기후동행카드…썩는 데 1000년 걸리는 PVC로 제작

김서호 기자
김서호 기자
입력 2024-10-20 16:51
수정 2024-10-20 17: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PVC, 가장 유해한 플라스틱 소재로 알려져
주요 카드사들은 PVC 대체 친환경 소재 전환에 주력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재사용·재활용 대책도 없어

이미지 확대
한 시민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한 시민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여 기후 위기에 대응하겠다는 취지로 올해 초 출시된 ‘기후동행카드’가 기후 위기를 촉발하는 소재인 폴리염화비닐(PVC)로 제작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카드사들이 10년 전부터 나무나 재활용 플라스틱을 소재로 일부 카드를 제작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업 취지에 동떨어진 ‘기후역행카드’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게다가 7월부터 시작한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서비스도 사용기간 종료 후 카드를 반납하는 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다. 쓰고 난 카드를 버릴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PVC 소재의 실물 기후동행카드는 79만 6762장 판매됐다. 지난 1월부터 시작된 기후동행카드 사업은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해 탄소배출을 줄이는 식으로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자 카드 이용객에게 교통비 절감 혜택을 준다. 발급 초기 품절 사태를 빚을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지난달 말 기준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객 432만명 중 약 12%인 51만명이 이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실물 카드만 80만장 가까이 팔린 이 카드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PVC로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PVC는 열로 모양을 쉽게 변형시킬 수 있어 신용·체크카드나 휴대폰 케이스처럼 말랑말랑한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데에 흔히 사용된다. 다만 생산·사용·폐기 등 전 과정에서 염화수소·다이옥신·환경 호르몬 등 유해 물질이 대량 발생한다.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실장은 “PVC는 지금까지 개발된 플라스틱 소재 중에서 가장 유해하다”라고 했다.

유엔환경계획(UNEP)과 교보증권이 2022년 발표한 ‘플라스틱 재활용 당위성과 기술 현황’ 보고서를 보면, PVC 소재 신용카드가 완전히 썩는 데만 1000년이 넘게 걸린다. 이런 유해성 때문에 주요 카드사들도 친환경 소재들로 일부 카드를 제작한다. 나무,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하거나 옥수수 전분 등에서 추출한 성분을 주원료로 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카드 등이 대표적이다. 마스터카드는 이미 옥수수나 설탕으로 만든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을 원료로 카드를 발급하고 있고, 오는 2028년부터는 친환경 소재로만 실물 카드를 만들 계획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후 위기 대응, 친환경 교통혁신을 앞세운 기후동행카드 사업의 취지를 고려하면 카드 제작에 좀 더 세심한 접근이 필요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시 관계자는 “카드 제작은 대행업체를 선정해 진행했는데 소재 선정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한 바 없다”라고 했다. 이에 대해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장은 “사업의 취지를 살리려면 PVC 소재의 카드가 환경에 미칠 영향을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도 “친환경 취지를 앞세우는 만큼 실물 카드도 PVC가 아닌 친환경 소재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꼬집었다.

더욱이 카드 재사용 대책이 없다는 점도 논란 요소다. 특히 지난 7월부터 시작한 단기권은 사용기간이 종료되면 카드를 폐기해야 한다. 지금은 지하철 일회용 교통카드와 같은 반납 체계가 없어서다. 허승은 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은 “카드를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주고, 반납된 카드는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주로 외국인 관광객이 이용해 사용 이후 기념으로 소유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따로 환급을 할 수 있는 방안은 현재로선 계획하고 있지 않다”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