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 이탈이 일주일 이상 이어진 27일 오후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간호사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하는 전공의의 집단 사직으로 공공병원에 환자들이 몰리고 있다. 특히 인력 등 만성적인 인프라 부족에 허덕이는 지방 공공병원들은 사태가 장기화되면 아예 의료 시스템이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경기 남부권 최대 공공병원인 성남시의료원은 평소보다 전원 환자가 두 배 늘었다. 성남의료원 관계자는 “집단행동 전날인 19일은 평소의 4~5배인 18명이 전원을 왔다”면서 “지금도 하루 4~5명의 환자가 전원을 계속 오는 상황이라 며칠이나 더 버틸 수 있을 지 잘 모르겠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그나마 수도권은 낫다. 영남권의 한 공공병원 관계자는 “지방은 1개 과에 의사가 1명인 경우가 태반이다. 전원 환자가 늘면서 과부하가 더 심하다”고 털어놨다. 종합병원 기능을 할 수 있는 병상 300개 이상을 둔 공공병원은 서울 외에 없다.
지방 공공병원들 인력 현황을 살펴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의 공공병원 의사 정원은 859명인데 채용은 756명(87.1%)에 불과하다.
인력 부족이 가장 심각한 곳은 광주다. 정원 12명 중 8명(66.7%)만 채용된 상태다. 대구 공공병원도 의사 정원이 64명이지만 실제 일하는 의사는 46명(71.9%) 뿐이다. 전남은 74.5%, 경남은 77.8%만 정원을 채우고 있다.
지방 공공병원 인력 수급의 최대 난점은 의사들의 수도권 근무 선호다. 지방 병원들은 서울 민간병원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2억~3억원대 연봉을 제시하지만 의사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지난해 경남 산청군보건의료원은 내과 전문의를 채용하면서 공고를 5차까지 낸 끝에 연봉 3억 6000만원, 주 5일·하루 8시간 근무 조건으로 겨우 의사를 구했다. 산청의료원 관계자는 “4차 공고에서 뽑힌 내과 전문의가 채용을 포기했는데, 겨우 설득해 5차 공고를 내서 겨우 뽑았다”고 말했다.
지방에서 의사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보니, 지방 공공병원의 병상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22년 말 기준 전체 의료기관 병상수 대비 공공병원 병상수 비중은 8.8%에 그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72.0%의 8분의 1 수준이다.
정일용 경기도의료원장은 “의대에 입학할 때 특정 지역에서 10년 등을 근무해야 한다는 의무 조항을 내걸어야 의사들이 지역에 남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