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우뉴스] 컨테이너선 몰린 中 현재 상황…‘최악의 물류대란’ 경고

[나우뉴스] 컨테이너선 몰린 中 현재 상황…‘최악의 물류대란’ 경고

입력 2022-04-20 14:12
업데이트 2022-04-20 14: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시간 20일 오전 11시 기준, 중국과 한국, 일본 연안에 몰려있는 컨테이너선(초록색), 유조선(빨간색)의 모습. 사진=마린트래픽
한국시간 20일 오전 11시 기준, 중국과 한국, 일본 연안에 몰려있는 컨테이너선(초록색), 유조선(빨간색)의 모습. 사진=마린트래픽
중국이 강력한 방역 정책인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글로벌 물류대란에 대한 경고음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중국 최대 경제 도시인 상하이가 코로나19로 봉쇄되고서 육상 물류가 어려워지자, 상하이항 인근으로 컨테이너선들이 몰리고 있다. 영국 스카이뉴스는 20일(현지시간), 봉쇄된 상하이 연안의 컨테이너선과 유조선들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표시한 이미지를 공개했다.

전 세계 선박의 실시간 위치와 항로를 추적할 수 있는 마린트래픽이 제공한 해당 이미지는 상하이항 주변으로 항구에 접근하려고 몰려든 선박 수천 척의 모습을 담고 있다. 사진 속 초록색 배는 컨테이너선을, 빨간색 배는 유조선을 의미한다.

컨테이너선과 유조선에 해당하지 않는 선박까지 합친 사진을 보면, 현재 상하이항 주변에서 나타난 병목현상의 심각성을 가늠해볼 수 있다.

한국시간 20일 오전 11시 기준, 중국과 한국, 일본 연안에 몰려있는 컨테이너선(초록색), 유조선(빨간색)의 모습. 사진=마린트래픽
한국시간 20일 오전 11시 기준, 중국과 한국, 일본 연안에 몰려있는 컨테이너선(초록색), 유조선(빨간색)의 모습. 사진=마린트래픽
밀린 선박들로 상하이항에 진입하지 못한 컨테이너선들은 다른 항구를 찾아 북쪽으로 이동하는 모양새다. 이 때문에 중국 동부 연안 및 북쪽으로 이어진 연안을 따라 수많은 선박이 배회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하이 항구를 오가는 선주와 상인에 따르면, 현재 상하이에서는 코로나19 봉쇄로 인한 항만 노동자 부족 등으로 선박에서 화물을 내리는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구리 및 철광석 등 금속을 운반하는 선박은 물품을 항구에 내린다 해도 물건을 항구에서 가공공장까지 보낼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해당 선박도 항구에 물품을 아예 내리지 못한 채 연안에 멈춰 서 있다.

미국 CNN 비즈니스의 17일 보도에 따르면, 실제로 지난달 28일 도시 봉쇄 조치가 시작된 이후 상하이항의 컨테이너 대기 시간은 75% 늘었다. 상하이항 화물 트럭의 90%가 멈춰 서며 물류에도 차질이 생기고 있다. 냉동 창고로 이동하지 못한 식품들도 해상터미널 컨테이너 안에서 그대로 썩고 있다.
중국 상하이 양산항 자료사진
중국 상하이 양산항 자료사진
중국항구협회는 중국 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8대 주요 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지난달 중순 기준 전년 대비 8.9% 감소 전망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현지 업계는 도시 봉쇄가 장기화한다면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대비 10% 이상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발 물동량의 급감은 글로벌 공급망의 셧다운 불안을 키우고 있다. 하루 2100대를 제조하는 상하이 테슬라 공장은 20일째 가동이 중단됐다. 상하이는 미국과 독일, 중국 업체가 연간 283만 3000대를 생산하는 중국 제2의 자동차 생산기지다. 자동차뿐 아니라 반도체와 전자업체도 타격을 받고 있다.

미국 경제매체인 CNBC는 “상하이 봉쇄로 지난해와 비교할 수 없는 글로벌 물류대란이 발생할 것”이라면서 “상하이의 봉쇄가 언제 풀릴지 알 수 없는 만큼, 글로벌 물류대란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