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암 이병철 탄생 100주년] ‘인재중심’ 흔들리면 10년내 中기업에 추월 당할수도

[호암 이병철 탄생 100주년] ‘인재중심’ 흔들리면 10년내 中기업에 추월 당할수도

입력 2010-02-08 00:00
업데이트 2010-02-08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의 과제

‘현재 대한민국 대표 기업은?’이라고 물으면 우리 국민 대부분은 삼성그룹이라고 답할 것이다. 그러나 ‘미래’라는 단서가 붙는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관련 학계 연구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기업은 10년 안에 70%가 사라지고, 20년간 생존하는 기업은 10%에 불과하다. 한국 기업 중 30년 넘게 번창한 기업은 2.88%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실제로 1965년 10대 기업에 들었던 기업 가운데 현재 생존한 기업은 단 하나도 없다. 이는 기업이 규모화할수록 설립 초기의 활력과 창의력이 떨어지기 때문. 덩치가 커지면서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는 속도도 떨어진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삼성이 ‘벤처 정신’을 유지해야 장기적인 성장이 가능하다고 지적한다.

박승록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연구실장은 “삼성은 그동안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해서 돈을 벌고, 이를 종잣돈 삼아 다른 사업에 뛰어들면서 성장했다.”면서 “앞으로도 전지, 의약 등 신성장동력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지 못하면 소니가 삼성에 따라잡혔듯이 10년 안에 삼성 역시 하이얼 등 중국 기업에 추월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강력한 오너십이다. 박 실장은 “반도체나 액정표시장치(LCD) 라인 하나 만드는 데만 3조원 이상 들어가고, 이는 전문경영인 차원에서 결정하기 어려운 규모”라면서 “막대한 투자를 감수하고 모험을 즐길 수 있는 강력한 오너십이 있어야 앞으로도 살아남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인재 중심’이라는 호암의 철학이 더욱 부각돼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송재용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미래 지식기반 경제에서는 지식 자산의 경쟁력이 핵심적이기 때문에 인재제일 정신이 더욱 중요하다.”면서 “호암이 반도체라는 국가 기반산업을 일군 것처럼 앞으로도 기업가 정신을 토대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포스트 이건희’ 체제를 안정적으로 그리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자녀들의 경영권 다툼으로 쇠퇴한 기업들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사장과 이부진 호텔신라·에버랜드 전무, 이서현 제일모직·제일기획 전무 등의 순조로운 경영권 정리를 위해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의 경영 복귀가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02-08 1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