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급감… 경상수지 1년만에 적자

수출 급감… 경상수지 1년만에 적자

입력 2010-02-26 00:00
업데이트 2010-02-2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경상수지가 1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올 들어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한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에선 경기 회복세가 주춤거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말한다.

이미지 확대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중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전달 15억 2000만달러 흑자에서 4억 5000만달러 적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2월 이후 11개월 동안 계속 유지해온 흑자기조가 채 1년을 채우지 못한 것이다. 주된 원인은 수출 감소다. 상품을 수출해 번 돈에서 상품 수입대금을 뺀 상품수지(무역수지)는 전월의 40억 2000만달러에서 15억 5000만달러로 급감했다. 수출 효자 품목인 선박 수출이 크게 줄었고, 유난히 추웠던 겨울 날씨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한 것이 흑자폭을 줄였다. 여기에 기업들이 실적이나 회계처리 등을 위해 연말에 수출을 집중하는 속칭 ‘밀어내기’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임금과 해외 투자수익 등을 합한 소득수지 흑자 규모도 전월 7억달러에서 4억 7000만달러로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선전했다. 해외여행 증가에 따른 여행수지 적자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운수와 여행부문을 제외한 기타서비스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적자 규모는 전월의 28억달러에서 21억 6000만달러로 축소됐다.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는 이를 두고 일시적인 현상으로 해석한다. 이영복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2006년 이후 1월경상수지는 한 해(2007년)를 제외하고 전부 적자였다.”면서 “이달 들어 수출은 지난해 수준까지 올라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2월부터 흑자전환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차영환 재정부 경제분석과장도 “1월이라는 단기적인 요인에 따른 적자로 정부가 설정한 올해 목표(150억달러 경상수지 흑자)는 무난히 달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영규 김민희기자 whoami@seoul.co.kr

2010-02-26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