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매각이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그룹의 대결로 압축되면서 현대건설 인수 후 두 그룹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06년 11월 금호아시아나그룹은 6조원이 넘는 막대한 인수자금을 들여 대우건설을 품은 뒤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재무적 투자자(FI)에게 추후 손실보전을 뜻하는 ‘풋백옵션’을 제안한 것이 발목을 잡았다. 또 자동차와 상선에서 건설로의 주력업종 분산은 자칫 경영 부실을 초래할 수 있는 덫이 될 수도 있다.
풋백옵션은 기업의 인수·합병 때 기업 인수 후 일정기간 발생하는 추가 손실에 대해 주식이나 금융자산을 되파는 가격을 미리 지정, 보전해주는 계약이다. 주식가격이 떨어지면 이를 제안한 쪽에서 손해를 입는다.
현재 채권단이 매각하는 현대건설 주식수는 3887만 9000여주. 최근 종가(주당 7만 3300원) 기준 2조 8000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채권단이 경영권 프리미엄을 30% 정도 가산할 경우 최저 인수가는 3조 6000억원 선이 된다. 두 그룹 간 경쟁이 가열되면 인수가는 4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그룹은 풋백옵션 등의 조건을 내걸고 투자자를 끌어들일 경우 적격한 후보자로 평가받을 수 없게 된다. 벌써부터 채권단 안팎에선 과열 인수전을 막기 위해 “무리하게 차입을 시도하는 후보기업에 본입찰 평가 때 감점을 주겠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최근 법원판결을 통해 재무약정 압력에서 벗어나 인수전에 뛰어든 현대그룹을 사실상 지목한 발언이다. 현대그룹은 1조 5000억원대 자금을 확보했지만 외부 지원 없이 경쟁이 불가능하다.
반면 현대차그룹은 4조 5000억원대 실탄을 갖고 단독 인수 참여를 선언했다.
이에 대해 현대그룹 관계자는 “재무적 투자자보다 전략적 투자자를 우선적으로 유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현직 건설업계 고위 관계자들은 “대형 건설사 인수는 사실상 채권단의 결정을 넘어 정권 차원의 결단이 있어야 한다.”며 “재무건정성 외에 현대건설 발전 가능성 등도 크게 고려될 것”이라 전망했다.
채권단이 내놓은 현대건설 지분 38.54%에는 정책금융공사(11.13%), 외환은행(8.72%), 우리은행(7.52%) 등의 지분이 포함됐다. 결정권은 정부 측 정책금융공사가 쥘 전망이다.
현대건설이 가진 현대상선 지분 8.3%의 향배도 관심을 끈다. 시장에선 현대차그룹이 현대건설을 인수하면 현대상선 지분을 현대중공업에 매각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5500억~6000억원의 매각대금으로 앞선 HMC증권(옛 신흥증권) 인수 때처럼 자금 부담을 덜 것이란 예상이다.
이렇게 되면 현대중공업의 현대상선 지분은 33.8%, KCC와 현대삼호중공업 등 범 현대가 지분을 합하면 40%에 육박한다. 현정은 회장 측 현대상선 지분(44.2%)과 불과 4%포인트 차이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현재 채권단이 매각하는 현대건설 주식수는 3887만 9000여주. 최근 종가(주당 7만 3300원) 기준 2조 8000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채권단이 경영권 프리미엄을 30% 정도 가산할 경우 최저 인수가는 3조 6000억원 선이 된다. 두 그룹 간 경쟁이 가열되면 인수가는 4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그룹은 풋백옵션 등의 조건을 내걸고 투자자를 끌어들일 경우 적격한 후보자로 평가받을 수 없게 된다. 벌써부터 채권단 안팎에선 과열 인수전을 막기 위해 “무리하게 차입을 시도하는 후보기업에 본입찰 평가 때 감점을 주겠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최근 법원판결을 통해 재무약정 압력에서 벗어나 인수전에 뛰어든 현대그룹을 사실상 지목한 발언이다. 현대그룹은 1조 5000억원대 자금을 확보했지만 외부 지원 없이 경쟁이 불가능하다.
반면 현대차그룹은 4조 5000억원대 실탄을 갖고 단독 인수 참여를 선언했다.
이에 대해 현대그룹 관계자는 “재무적 투자자보다 전략적 투자자를 우선적으로 유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현직 건설업계 고위 관계자들은 “대형 건설사 인수는 사실상 채권단의 결정을 넘어 정권 차원의 결단이 있어야 한다.”며 “재무건정성 외에 현대건설 발전 가능성 등도 크게 고려될 것”이라 전망했다.
채권단이 내놓은 현대건설 지분 38.54%에는 정책금융공사(11.13%), 외환은행(8.72%), 우리은행(7.52%) 등의 지분이 포함됐다. 결정권은 정부 측 정책금융공사가 쥘 전망이다.
현대건설이 가진 현대상선 지분 8.3%의 향배도 관심을 끈다. 시장에선 현대차그룹이 현대건설을 인수하면 현대상선 지분을 현대중공업에 매각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5500억~6000억원의 매각대금으로 앞선 HMC증권(옛 신흥증권) 인수 때처럼 자금 부담을 덜 것이란 예상이다.
이렇게 되면 현대중공업의 현대상선 지분은 33.8%, KCC와 현대삼호중공업 등 범 현대가 지분을 합하면 40%에 육박한다. 현정은 회장 측 현대상선 지분(44.2%)과 불과 4%포인트 차이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0-09-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