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령자 고용률 한국 ↓, OECD ↑

고령자 고용률 한국 ↓, OECD ↑

입력 2010-10-01 00:00
업데이트 2010-10-01 1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가 급속히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가운데 55~64세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이 선진국들과 달리 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세 이상 중·고령자의 고용 질(質)이 다른 연령대보다 열악해 높은 노인 빈곤율로 연결되고 연금을 받는 공식 은퇴연령보다 실제 은퇴연령이 높은 것으로 파악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OECD 고령자 고용률 추이 엇갈려

 국내 55~64세 고령자의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선진국과 정반대 양상을 보이고 있다.

 1일 고용노동부가 노인의 날을 앞두고 분석해 내놓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고용지표에 따르면 국내 55~64세 고령자의 고용률은 1994년 62.9%에서 2009년 60.4%로 하락한 반면 OECD 평균치는 46.1%에서 54.5%로 상승했다.

 55~64세 고령자의 고용률이 높아지는 현상은 OECD 선진국들 사이에서 두드러진다.

 같은 기간 미국은 54.4%에서 60.6%,독일은 35.9%에서 56.6%,네덜란드는 29%에서 52.6%,캐나다는 43.6%에서 57.6%,영국은 47.4%에서 57.5%로 각각 상승했다.

 국내 55~54세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1994년 63.3%에서 지난해 61.8%로 낮아졌으나 OECD 평균치는 48.7%에서 57.8%로 높아졌다.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다른 국가에 비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이런 현상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이 지난 2000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에 달하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데 이어 오는 2018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에 달하는 ‘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OECD는 전망하고 있다.

 2026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에 이르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이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8년,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바뀌는 데는 불과 8년밖에 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프랑스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에 진입하는 데 115년,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가 되는 데 41년이 소요된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방증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를 기준으로 국내 55~64세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은 각각 61.8%,60.4%로 OECD의 평균치 56.9%,53.6%를 웃도는 등 긍정적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국내 고령자 고용지표가 OECD 회원국들보다 상대적으로 좋은 이유는 일종의 착시 현상에 불과하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OECD 회원국들과 비교하면 사회보장제도가 미흡하고,농림어업 종사자와 자영업주 비중이 높아 이들이 실업자로 전락할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50세 이상 취업자 2명 중 1명은 비정규직

 중·고령자들의 고용 질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고용부가 지난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50세 이상 취업자 2명 중 1명(48.2%) 정도가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비율은 전체 연령대 평균(33.1%)보다 많고,청년층(31.6%),30대(24.5%),40대(30.3%) 등 다른 연령대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경제적인 이유로 짧은 시간을 일한 노동자 중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불완전 취업자’ 비율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전체 불완전 취업자 중 50세 이상의 불완전취업자 비율은 2004년 32.3%에서 지난해 42.8%까지 늘어나 50대 미만 연령층에서 불완전취업 비율이 하락하는 추세와 대조적이다.

 50세 이상 중·고령 취업자 중 임금 근로자 비율 역시 51.4%로 전연령 평균치 70%보다 현저히 낮다.

 반면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한 비임금근로자 비율은 48.6%로 모든 연령대 평균치 30%보다 높다.

 50세 이상 중·고령자가 종사하는 산업은 도소매·음식숙박업(22.5%),농림어업(18.4%),제조업(11.6%) 등의 차례였다.

 도소매·음식숙박업의 80%가 영세자영업주(5인 미만)로,이들은 소득 수준이 열악하고 휴·폐업률이 높아 빈곤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65세 이상 고령자 중 농림어업 종사자 비율은 44.3%로 1990년의 64%보다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절대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중반을 기준으로 했을 때 우리나라 66세 이상 고령자의 빈곤율(가처분소득의 중위소득 1/2 미만자)은 45.1%로 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며 OECD 평균 13.3%를 크게 웃돌았다.

 또 OECD 대부분 국가의 실제 은퇴연령이 연금을 수급하는 공식 은퇴연령보다 낮으나 한국은 예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02년부터 2005년 사이에 OECD가 조사한 회원국 평균 공식 은퇴연령은 남성(여성)의 경우 63.6세(62.3세)로,실제 은퇴연령 63.5세(62.7세)와 비슷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남성과 여성의 공식 은퇴연령은 모두 60세인 반면 실제 은퇴연령은 각각 71.2세,67.9세로 격차가 컸다.

 고용부는 중고령자의 연령과 전문성을 고려해 대상별 특성에 맞는 일자리 대책을 추진하고 중고령 실직·구직자들이 선호하는 고용센터 등과 같은 공공 고용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가진 중·고령 퇴직예정자에 대한 전직 지원과 능력개발 지원 대책을 활성화하고 연령,체력,소득수준 등을 고려한 다양한 일자리를 적극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