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전자 이번엔 세탁기 속도경쟁

삼성·LG전자 이번엔 세탁기 속도경쟁

입력 2011-07-06 00:00
업데이트 2011-07-06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 ‘세탁 ~ 탈수 19분’… LG ‘17분이면 끝’

올해 들어 3차원(3D) 입체영상 TV, 에어컨, 냉장고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1등 전쟁’을 펼치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이번에는 세탁기 속도를 놓고 경쟁에 나섰다.

이미지 확대


LG전자는 5일 ‘17분 세탁 기능’을 추가한 드럼세탁기 ‘트롬’ 신제품을 출시했다. 건조 겸용 세탁기로는 업계 최대 세탁용량(17㎏)과 건조용량(9㎏)을 갖춘 이 제품은 기존 ‘스피드 워시’ 코스를 개선해 셔츠 5장에 해당하는 세탁물 1㎏을 최단 시간인 17분 만에 처리할 수 있다.

LG의 이 같은 움직임은 지난 5월 삼성전자의 ‘역습’에 따른 것. 삼성전자는 쾌속 코스를 이용해 세탁부터 헹굼·탈수까지 19분 만에 끝낼 수 있는 19㎏ 대용량 드럼세탁기 ‘버블샷’ 신제품을 선보였다.

2008년 29분 만에 세탁을 마치는 드럼세탁기를 출시하는 등 세탁 시간에서 삼성 등 경쟁 업체를 크게 앞선다고 자부하던 LG전자로서는 삼성의 무서운 도전이 내심 당황스러웠던 게 사실이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세탁기의 세탁시간은 4㎏을 세탁하는 표준 코스가 2007년 1시간 30분대에서 2008~2010년 50분대, 올해에는 40분대로 줄었다. 세탁물 1㎏을 처리하는 쾌속 코스의 경우 2007년 50분대, 2008년 20분대에 이어 올해는 10분대로 떨어졌다.

이처럼 세탁시간이 급격히 단축된 비결은 양사가 모터 기술을 경쟁적으로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두 회사는 국내 세탁기 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GfK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세탁기 시장에서 LG전자는 수량 기준 44.6%의 점유율을 기록해 삼성전자(41%)를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금액 기준으로도 각각 46%, 44%로 순위는 같았다.

반면 드럼세탁기의 경우 순위가 엇갈렸다. 수량 기준으로는 LG전자가 48.4%로 삼성전자(46.7%)를 누르고 1위에 올랐지만, 금액 기준으로는 삼성전자(48.2%)가 LG전자(48%)를 근소하게나마 꺾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금액 기준으로 드럼세탁기 1위를 탈환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LG전자는 “금액 기준으로도 사실상 차이가 없으며 나머지 부문에서는 모두 앞섰다.”고 강조하고 있다.

양사 간 점유율 차이가 거의 없음에도 1등 경쟁에 끊임없이 나서는 것은 ‘업계 1위 제품’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마케팅에 나설 경우 얻게 될 영업상 프리미엄 때문이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전통적으로 가전제품은 LG전자가 강했지만 최근 몇 년간 삼성전자가 브랜드 경쟁력을 등에 업고 괄목할 속도로 추격하고 있다.”면서 “올해가 세탁기, 에어컨 등 주요 분야에서 1등 경쟁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7-06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