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하락에도 오른 ‘이상한’ 기름값

국제유가 하락에도 오른 ‘이상한’ 기름값

입력 2011-07-07 00:00
업데이트 2011-07-07 08: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0원 할인 종료 前 가격 조정 의혹”기름값 환원·국제유가 상승조짐..

국제 유가는 떨어지는데 국내 기름값은 오르는 ‘기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7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 주 무연 보통휘발유의 전국 주유소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3.32원 오른 1천921.74원으로 3주 연속 상승했다. 자동차용 경유도 ℓ당 5.13원 오른 1천746.38원을 기록해 역시 3주 연속 올랐다.

이와는 반대로 국내 휘발유 가격을 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싱가포르 현물시장 국제 휘발유 가격(옥탄가 92)은 6월 한 달간 3.4%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별로 보면 첫째주 배럴당 118.82달러, 둘째주 120.54달러, 셋째주 119.56달러, 넷째주 116.30달러, 다섯째주 114.74달러로 3주째 하락했다.

국제 경유(L/P 0.5%) 가격 역시 6월 둘째주 배럴당 129.37달러에서 다섯째 주 120.89달러로 3주 연속 가격이 내렸다.

정유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통상 국내 정유사의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국제 가격의 변동추이와 환율, 운임 등에 따라 움직인다.

국제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1~2주 시차를 두고 국내 가격에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6월 넷째주나 다섯째주부터는 국내 기름값이 떨어졌어야 했는데 반대의 움직임을 보인 셈이다.

6월 중 원·달러 환율도 시가 기준으로 전월보다 0.3% 하락해 국내 기름값 상승 요인으로 보긴 어렵다.

이 같은 기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일부 정유사들이 7일 석유제품 ℓ당 100원 할인정책 환원을 앞두고 가격을 올린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물가 관련 전문가는 “국제 가격과 환율을 고려하면 6월 중순부터 기름값이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라면서 “특별한 상승유인이 없는데도 기름값이 오른 것을 보면 정유사들이 정책 환원에 앞서 미리 가격을 조정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더욱이 100원 할인 정책 환원과 함께 최근 들어 국제 휘발유·경유 가격이 다시 오를 조짐을 보이고 있어 향후 소비자들의 기름값 부담은 가중될 전망이다.

이달 1일부터 5일까지 국제 휘발유 평균가격은 배럴당 120.96달러로 불과 한주만에 5.4%가 올랐다. 경유는 배럴당 123.79달러로 전주보다 2.4% 상승했다.

6일에도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전날보다 각각 0.36원, 0.39원 올랐다.

이런 가운데 정유업계는 이날부터 기름값을 단계적으로 환원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