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굳지않는 떡·누룽지차… 쌀 가공식품 급증

술·굳지않는 떡·누룽지차… 쌀 가공식품 급증

입력 2011-07-12 00:00
업데이트 2011-07-12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5년간 특허출원 822건

쌀 소비를 촉진시키려는 다양한 노력이 쌀 특허 출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11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출원된 쌀 가공식품 특허가 822건에 달했다.

분야별로는 주류가 21.2%인 173건으로 가장 많고 떡류(125건), 즉석밥과 같은 간편조리식(104건), 특별한 효능을 부여한 기능성 쌀(76건), 면류(70건) 등이다. 특히 주류 관련 출원은 지난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06년 19건, 2008년 29건 등 최근 5년 평균 20건 안팎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71건으로 급증했다. 이 같은 증가추세는 막걸리 열풍 등 전통 발효주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지적된다.

주류 다음으로 특허 출원이 많았던 떡의 경우, 유연성을 오래 지속시키는 기술 개발에 초점이 맞춰졌다. 떡은 빨리 굳고, 굳으면 먹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빵만큼 소비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간편하게 물만 부으면 먹을 수 있는 떡국이나 동결건조 죽, 누룽지 차와 전자레인지로 가열만 하면 바로 먹을 수 있는 비빔밥 같은 간편조리식도 연평균 20건 이상씩 꾸준히 출원됐다.

한편 최근에는 기능성 쌀에 대한 출원이 주목을 받고 있다.

표면에 혈당 강하 물질을 코팅한 쌀을 비롯해 녹차·클로렐라·산수유 등을 함유한 쌀국수,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쌀 음료 등이 등장했다.

특허청 관계자는 “해마다 쌀 소비가 감소하면서 가공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2009년 막걸리 열풍으로 전통발효주 개발이 급증했다.”면서 “음식은 맛과 영양은 물론 특별한 효능이나 편리함을 갖춰야 하고 쌀도 예외는 아니다.”고 말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1-07-12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