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지나가고 나면 과일·채소값 더 오른다

장마철 지나가고 나면 과일·채소값 더 오른다

입력 2011-07-13 00:00
업데이트 2011-07-13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통업계 “새달까지 20%가량 비싸져”

일주일 넘게 지속되는 장마철 폭우로 인해 신선식품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를 전망이다.

12일 대형마트에 따르면 집중 호우로 산지 작업량 및 출하량이 감소해 야채류의 금주 산지 가격이 20%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상추·양상추 등 하우스에서 경작하는 엽채류의 경우 비가 올 경우 짓무름 현상과 일조량 부족에 따른 선도 저하로 출하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노지에서 재배하는 배추·양배추도 폭우의 직접 영향을 받아 산지가격이 현재 20~30% 오르는 추세다. 오이·호박 등 과채류도 일조량 부족에 따른 발육부진으로 가격 인상이 우려되고 있다.

12일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상추(100g) 소매가격이 1061원으로 1주일 전(631원)보다 68.1% 치솟았으며, 시금치(1㎏)도 같은 기간 4023원에서 5370원으로 33.5% 뛰었다. 작황이 좋아 한때 폭락했던 배추(1포기)도 1786원으로 1주일 전(1492원)보다 19.7%, 호박(조선애호박 상품 기준)도 1769원으로 전주 (1504원)보다 17.6%(242원) 올랐다.

롯데마트에 따르면 6월 말 태풍 메아리로 주산지인 충청권이 타격을 받으면서 오이·호박류의 산지 가격이 전주보다 30%, 2주 전에 견줘 50%나 올랐다. 상추·시금치 등은 현재 장마 영향권인 경기도가 주산지여서 향후 가격 변동이 클 것으로 관측됐다. 이마트를 비롯한 대형마트 등은 이번 주말부터 산지 가격을 반영해 채소류 가격을 5~10% 올릴 계획이다.

과일의 경우 복숭아·자두의 경우 출하 시기가 지연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가격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포도 또한 주산지가 폭우 피해지역이 아니어서 당도나 가격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수박이다. 올해 수박값은 예년보다 20%나 올랐는데 산지 피해 상황에 따라 출하량 감소와 더불어 복숭아·자두·포도 등 제철 과일 출하 지연으로 ‘몸값’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점쳐진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1-07-13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