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신재생에너지산업 10년뒤 한국 앞설 것”

“中 신재생에너지산업 10년뒤 한국 앞설 것”

입력 2011-07-18 00:00
업데이트 2011-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CEO 35.9% 응답

국내 최고경영자(CEO) 3명 중 1명꼴로 10년 후 한국보다 경쟁력이 앞설 중국의 산업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꼽았다.

삼성경제연구소가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CEO 2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CEO 중 35.9%가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2020년 한국보다 우위에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자·정보통신(IT)이 17.6%로 두 번째였고, 유통·물류(16.4%), 자동차(10.9%), 석유화학(10.5%), 바이오·제약(6.6%)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투자계획과 관련해서는 응답자 중 39.5%가 현재보다 늘리겠다고 답했지만 줄이겠다는 답변은 7.4%에 그쳤다. 중국 진출을 확대하거나 새로 진출할 때 가장 선호하는 분야는 판매가 53.1%였고, 생산은 14.1%, 연구개발(R&D)이 6.6%로 뒤를 이었다.

또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면 기업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39.4%가 매우 또는 다소 유리하다고 답했고, 29.7%는 매우 또는 다소 불리하다고 밝혔다.

10년 후 중국의 정치 체제에 대해서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68%에 달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7-18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