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색 車, 한국서 ‘찬밥’..중국은 판매 ‘불티’

붉은색 車, 한국서 ‘찬밥’..중국은 판매 ‘불티’

입력 2011-07-21 00:00
업데이트 2011-07-21 07: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무채색 위주..중국은 ‘적ㆍ황’이 대세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차 색상은 무엇일까.

한국에서는 찬밥 신세나 마찬가지인 붉은색과 황색 계열이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가장 많이 선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현대차가 한국과 중국에서 동시에 판매중인 주요 차종의 출고분 색상 비율을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대체로 무채색 계열을 선택하는 반면 중국인들은 붉은색과 금색 등 눈에 띄는 강렬한 색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중국에서 팔린 ‘엑센트’(현지명 베르나) 중 적색 계열은 무려 34%에 달하지만 한국에서는 4.1%에 불과하다.

중국에서는 엑센트가 3대 중 1대 꼴로 빨간색 차량이 나간 반면 한국에서는 25대 중 1대 꼴로 팔린 것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보기 힘든 금색과 노란색 같은 황색 계열의 비중이 12%에 달하는 점도 눈에 띈다.

준중형 ‘아이써티’에서도 중국인들의 붉은색 선호 경향이 두드러진다.

한국의 경우 상반기에 토마토레드 등 붉은색 계열 판매가 2.8%에 불과했지만, 중국은 같은 기간에 무려 34%로 집계됐다.

국내에서 1.7%에 불과한 청색 계열(산토리니블루, 클린블루)이 중국에서는 29%에 달하는 것도 주목할만 하다.

’투싼ix’의 경우도 양국 소비자들의 성향이 대조적이다.

한국에서는 바닐라 화이트 등 백색 계열이 올해 상반기 판매량의 38.9%를, 슬릭 실버, 하이퍼 메탈릭, 그레이 티타늄 등 은회색 계열은 50.2%를 기록했다.

실키 브론즈 등 황색 계열은 0.3%에 불과했고 레밍턴 레드 등 적색 계열도 2.0%에 그쳤을 뿐이다.

반면 중국에서는 한국에서 판매가 가장 저조한 황색 계열이 무려 49.8%의 비율을 기록했고 붉은색 계열도 5%로 한국 보다 높았다.

중형차에서도 올해 상반기 한국에서 판매된 ‘쏘나타(YF)’ 중 붉은색 비율은 0.1%에 지나지 않았지만 중국에서는 9%로 나타났으며, 금색과 같은 황색 계열도 중국에서는 5%로 집계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양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색상을 보면 한국인들은 주변을 의식해 튀지 않으려고 하는 반면 중국인들은 남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는 듯 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