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10원 동전 다 어디 갔을까

그 많던 10원 동전 다 어디 갔을까

입력 2011-07-22 00:00
업데이트 2011-07-22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올해 상반기 동안 10원짜리 동전 100개 중 5개만 유통이 제대로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1일 올해 상반기의 10원짜리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 비율)이 4.7%로 지난해 10.1%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밝혔다. 금액기준으로는 한국은행이 10원짜리를 100만원어치 발행했다면 그중 4만 7000원만 회수했다는 의미다.

10원짜리 환수율은 다른 동전보다도 훨씬 낮았다. 같은 기간 500원짜리 환수율은 37.5%, 100원짜리 환수율은 46.2%로 각각 지난해의 환수율 20.5%, 29.3%보다 증가했다. 50원짜리는 42.3%로 지난해 56.0%보다 다소 감소했다.

10원짜리는 제조원가가 30~40원으로 액면가보다 높아 환수율이 낮으면 그만큼 적자를 보게 된다. 게다가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10원짜리 제조원가도 오르고 있다. 한국은행은 매년 4월쯤 조폐공사와 화폐 발행과 관련해 계약을 체결하는데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계약단가보다 제조단가가 올랐을 경우 실제 구매단가를 고려해 연말에 이를 다시 정산한다.

10원짜리의 환수율이 낮은 이유는 마트 등에서 잔돈거래용으로만 쓰이면서 집에서 잠들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동전(주화) 전체 환수율 평균은 전년 24.4%보다 14.9% 포인트 오른 39.3%를 기록했다. 지폐(은행권)는 5만원권을 제외하면 환수율이 다소 떨어졌지만 지난해보다 2.2% 포인트 오른 93.3%였다. 발행 이후 잠시 환수율이 낮았던 5만원권은 지난해 37.5%에서 올해 상반기 66.2%로 1.8배가 뛰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7-22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