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가격 ‘고공행진’ 내달 상순까지 지속”

“배추가격 ‘고공행진’ 내달 상순까지 지속”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15: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5일 배추 상품 도매가격 포기당 3천200원

작년에 이어 올해 여름에도 반복되고 있는 고랭지 배추가격의 고공행진이 내달 상순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농림수산식품부가 25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지난 23, 25일 배추 도매가격이 상(上)품 기준으로 포기당 3천200원까지 올라 이달 하순(21~25일) 평균가격이 포기당 2천643원으로 이달 상순의 평균가격 1천97원, 중순 1천786원보다 각각 140.9%, 48.0%나 크게 올랐다고 전했다.

이 같은 가격은 평년대비 58% 높고,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선 4% 낮은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최근 배추가격 급등 원인에 대해 “봄배추 가격 약세로 포전관리가 소홀해진 데다가 긴 장마로 출하시기를 앞둔 포전에서 무름병이 발생하고 배수 불량 포전에 물이 잠기는 등 피해가 발생해 출하량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달 하순 가락동 도매시장의 1일 평균 배추 반입량은 538t으로 작년 596t, 평년 612t에 비해 9~12% 줄었다.

농식품부는 “내달 중순 이후에 출하되는 고랭지배추는 재배면적이 늘고 비로 인한 피해도 적어 공급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내달 상순까지 배추값 안정을 위해 정부와 농협이 저장하고 있는 봄배추 515t과 462t을 도매시장에 상장하거나 김치업체에 공급하고 내달 상순까지 출하되는 농협중앙회 계약물량의 70% 수준(2천t)을 도매시장에 집중 공급키로 했다.

농식품부는 또 8월 하순이면 각급 학교들이 개학하고, 올해의 경우 추석이 빨라 내달 하순~9월 상순에 가격이 평년보다 상승할 요인이 있다고 판단, 공급을 늘리기 위해 배추 주지 5개 시ㆍ군에 공동방제단을 구성, 고령 농가 등 관리가 취약한 포전을 대상으로 방제활동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농식품부는 이상 기후 등으로 작황이 급격히 악화될 경우를 대비해 중국 배추 작황 등을 사전에 파악하고 할당관세 도입을 준비키로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