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 정부 대안주유소 카드에 ‘글쎄’

정유업계, 정부 대안주유소 카드에 ‘글쎄’

입력 2011-07-26 00:00
업데이트 2011-07-26 15: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유소협회 “차리리 가격 고시제로 돌아가자”

정부가 26일 기름값을 내리기 위해 대안 주유소 설립 카드를 제시했지만 주유소 업계는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고개를 젓고 있다.

정유업계의 한 관계자는 “농협은 회원을 위해, 대형마트 주유소는 손님을 끌려고 이윤을 포기하고 주유소를 운영하지만 주유소 외에 아무것도 없는 대안 주유소가 어떻게 마진을 포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싱가포르 국제시장에서 제품을 들여와서 관세에다 세금을 붙이면 결국 국내 주유소 가격과 거의 차이가 없게 될 것”이라며 “정부 구상대로 된다면 왜 석유 수입상들이 국내 시장에서 고전하겠느냐”라고 반문했다.

다른 관계자는 “주유소가 성공하려면 가격도 중요하지만 접근성이 좋아야 한다”며 “관건은 대안 주유소를 얼마나 많이 세우느냐의 문제인데, 땅값이 비싼 서울에 얼마나 값싼 기름을 판매하는 주유소를 만들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셀프 주유소나 마트 주유소를 잘 활용하면 기름값 인하의 효과가 있는데 대안 주유소라는 개념을 새로 만든다는 것이 의아하다”며 “현재 전국에 주유소가 적정 주유소수(8천~8천500개)보다 5천여개 많은 1만3천개가 있는 상황에서 주유소를 더 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주유소 업계를 대표하는 한국주유소협회는 “정부의 대안 주유소 설립안에 결사반대”라며 불쾌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협회 관계자는 “5% 정도 마진을 남기는 주유소를 상대로 무엇을 기대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정부가 대안 주유소를 추진하는 것이 결국 기존 주유소에 가격 인하 압력을 행사하겠다는 것이 아니냐”며 “정부가 이렇게 나서서 시장을 왜곡시키려면 차라리 가격 고시제를 다시 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