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국가경쟁력 19위로 격상…5계단 ‘껑충’

韓 국가경쟁력 19위로 격상…5계단 ‘껑충’

입력 2012-09-05 00:00
업데이트 2012-09-05 1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건ㆍ초등교육, 상품시장 효율성 개선노사협력ㆍ은행 건전성ㆍ정치인 신뢰 하위권

올해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세계 19위에 올랐다. 작년보다 5단계나 뛰어올랐다. 보건ㆍ초등교육과 상품시장 효율성 부문이 개선된 덕분이다.

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144개국 가운데 19위다.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은 2007년 11위에 오른 뒤 지난해까지 4년 연속으로 하락했다가 올해 전년보다 5단계 상승했다. 19위는 2009년 순위와 같다.

3대 평가분야별 순위를 보면 기본요인이 19→18위, 효율성 증진은 22→20위, 기업 혁신ㆍ성숙도 18→17위로 모두 올랐다.

중간부문별로는 보건ㆍ초등교육이 15위에서 11위로, 상품시장 효율성이 37위에서 29위로 크게 개선됐다.

취약했던 분야인 금융시장 성숙도는 80위에서 71위로 올랐다. 제도적 요인(65→62위), 노동시장 효율성(76→73위), 기업활동 성숙도(25→22위)는 소폭 상승했다.

이와 달리 거시경제 환경(6→10위)과 기업혁신(14→16위) 부문은 내렸다.

세부분야로는 보건ㆍ초등교육에서 기대수명(17→15위)과 초등교육의 질(22→14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상품시장 효율성은 시장 경쟁의 강도(15→11위), 고객 지향도(16→9위), 창업 시 행정절차 수(78→29위), 창업 시 소요시간(58→25위) 등의 개선세가 두드러졌다.

금융시장 성숙도가 전반적으로 개선됐으나 대출의 용이성(115위), 벤처자본의 이용가능성(110위), 은행 건전성(98위) 등 ‘열등생’ 처지를 벗어나지 못한 분야도 적지 않았다.

노동시장 효율성도 마찬가지다. 보수ㆍ생산성은 지난해 15위에서 올해 9위로 올랐으나 노사간 협력(129위), 고용ㆍ해고관행(109위), 정리해고 비용(117위) 등은 여전히 100위권밖이다.

제도적 요인 부문에선 정치인에 대한 공공 신뢰가 지난해 111위에서 올해 117위로 더 떨어졌다. 정책결정의 투명성은 128위에서 133위로 내려가 낙제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지출의 낭비 정도도 95위에서 107위로 떨어져 100위권 밖으로 밀렸다.

정부규제 부담(114위), 규제개선 측면에서 법체계의 효율성(96위), 공무원 의사결정의 편파성(89위) 등은 올해 소폭 상승했으나 절대 순위는 여전히 낮았다.

거시경제 안정성 부문은 정부부채(45→56위)와 재정수지(13→17위) 등이 하락했다.

고등교육ㆍ직업훈련에서 고등교육 취학률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를 유지해 눈길을 끌었다. 수학ㆍ과학교육의 질은 12위에서 8위로, 학교에서의 인터넷 접근도는 10위에서 7위로 각각 상승했다.

국가별로 스위스가 4년 연속 1위에 올랐다. 싱가포르는 작년과 같은 2위, 핀란드는 한 계단 올라 3위를 기록했다. 이어 스웨덴, 네덜란드, 독일 순이었다. 미국은 4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올해 7위를 기록했다.

덴마크는 12위, 노르웨이는 15위에 오르는 등 북유럽 국가가 강세를 보였다.

아시아 국가에선 홍콩이 9위, 일본이 10위에 올랐다. 중국은 작년 26위에서 올해 29위로 순위가 떨어졌다.

기재부는 보건ㆍ초등교육과 상품시장 효율성 부문의 개선에 힘입어 2009년 순위를 회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려면 과거부터 취약 부문으로 꼽히는 제도적 요인, 노동시장 효율성, 금융시장 성숙도를 높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