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심장마비 응급실 가도 생존 3%…뇌 회복 0.9%

심장마비 응급실 가도 생존 3%…뇌 회복 0.9%

입력 2012-10-21 00:00
업데이트 2012-10-21 1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질병관리본부 분석..심장마비 12월·일요일·오전에 많이 발생병원도착 전 일반인 심폐소생술 비율 2%에 그쳐..美·日의 1/10 이하

병원 밖에서 갑자기 심장 활동이 멈추는 심정지(심장마비;Cardiac arrest)를 겪어 응급실로 옮겨져도 100명 중 3명만 목숨을 건지고, 뇌기능까지 회복하는 것은 단 1명 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초기 심폐소생술을 받는 비율이 미국과 일본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으로, 심폐소생술 교육 확대와 제세동기(심장충격기) 설치·활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심정지 절반은 운동·근무 아닌 일상생활 중 발생 = 21일 질병관리본부가 공개한 ‘병원외 심정지 의무기록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06~2010년 병원 밖 심정지 사례 9만7천291건을 분석한 결과 인구 10만명당 심정지 발생률은 ▲2006년 39.3명 ▲2007년 39.7명 ▲2008년 41.4명 ▲2009년 44.4명 ▲2010년 44.8명으로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였다.

질병관리본부의 이 연구는 심정지 환자에 대한 소방방재청(119구급대)의 구급일지와 이송된 병원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5년 평균 남성 환자의 비율(64.9%)이 여성(35.1%)을 웃돌았고, 65세이상 노인이 절반(50.3%)을 차지했다. 전체의 47.3%는 16~64세, 2.3%는 15세이하 연령층에서 나타났다.

월별로는 12월(9.5%)에 가장 많은 반면 6월(7.6%) 발생률이 최저였다. 주로 겨울과 봄에 상대적으로 심정지가 늘고, 여름과 가을에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구급차 호출 시각을 기준으로 발생 시간대를 살펴보면 오전 6시~낮 12시 사이 심정지 사례의 34.5%가 몰려있었다.

요일별 발생률은 일(15.0%), 월(14.9%), 토(14.6%), 금(14.0%), 화·수·목(각 13.8%) 순이었다.

또 일반적 통념과 달리 심정지는 신체 움직임이 활발한 운동·레져(2.7%)나 스트레스와 관계있는 근무(5.1%) 상황보다 일상생활(47.8%) 중 갑자기 찾아오는 경우가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밖 일반인 심폐소생술률 2.1%, 생존퇴원율 3%, 뇌기능회복률 0.9% = 심정지 발생 당시 주위 사람들이 이를 목격한 사례는 전체의 38.2% 정도였다. 그러나 목격한 경우라도 일반인이 응급조치로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비율은 5년 평균 2.1%에 불과했다.

연도별 심폐소생술률이 ▲2006년 1.0% ▲2007년 1.7% ▲2008년 1.8% ▲2009년 2.6% ▲2010년 3.1% 등으로 계속 높아지고는 있지만 미국(33.3%), 일본(34.8%)와 비교하면 2010년 기준으로도 여전히 10분의 1이하 수준이라고 질병관리본부는 지적했다.

병원을 찾은 심정지 환자의 심전도 결과 대다수인 77.9%가 제세동(심장박동을 정상으로 돌리는 조치)이 불가능한 상태였고 심실세동 등 소생 가능한 리듬이 확인된 경우는 3% 뿐이었다. 심정지 환자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심실세동(소생 가능 리듬)을 보이는 비율은 북미·유럽·일본이 20~25%, 대만이 6~11%로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은데, 이 같은 차이 역시 병원 밖 심폐소생술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탓이라는 분석이다.

결과적으로 심정지 환자의 병원 도착 시점 생존율은 9.4%, 살아서 퇴원한 경우는 3.0%에 불과했다. 목숨을 구했더라도 뇌기능까지 회복된 경우는 0.9% 밖에 없었다.

이는 미국(11.4%), 스웨덴(14.0%), 노르웨이(13.0%) 등 해외 심정지 환자의 생존 퇴원율과 비교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심정지의 74.3%가 심장이상 때문이었고, 나머지는 외상·질식·익사·화상·전기감전 등 비(非)심인성 심정지였다.

구급대가 신고를 받은 뒤 4분 안에 반응하는 비율은 2006년 12.3%에서 2010년 8.9%로 오히려 떨어졌고, 병원까지 이송시간 역시 8분내 도착하는 경우가 2006년 1.3%에서 2010년 0.7%로 줄었다. 이는 교통체증이나 고층 건물 증가 등 사회적 요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최정아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질환관리과 연구원은 “일반인이 심정지를 목격하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비율이 5년 평균 2% 뿐”이라며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율을 높이려면 지역사회 단계에서부터 심폐소생술 참여를 크게 늘리고 빠른 이송과 심정지 전문 치료가 가능한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심정지 발생 장소·상황·목격·일반인 심폐소생술 통계(2006~2010년)>

<심정지 환자 이송시간·심전도·원인·처치결과 통계(2006~2010년)>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