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카드 포인트 비밀’ 풀렸다…20~30대 사용률 최고

‘카드 포인트 비밀’ 풀렸다…20~30대 사용률 최고

입력 2013-01-21 00:00
업데이트 2013-01-21 0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카드 2천500만명 포인트 사용 현황 분석 결과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쓰면 자동으로 쌓이는 포인트의 비밀이 처음으로 풀렸다.

경제활동의 주력 연령대인 30~40대는 포인트를 많이 적립하고서도 제때 사용하지 못해 사라지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의 카드 포인트 사용률이 가장 높아 실속파도 증가하는 추세다.

21일 ‘카드 포인트 1위’ 롯데카드가 포인트제를 도입한 2006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7년간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30~40대의 포인트 소멸 비중이 다른 연령층보다 월등히 높았다.

카드사가 포인트 사용 내용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효기간 경과 등 이유로 소멸하는 포인트의 24.6%가 30대, 23.7%가 40대였다. 30~40대 카드 이용자는 10명 가운데 2~3명꼴로 포인트를 제대로 쓰지 못한 셈이다. 20대(13%)나 50대(15.3%)가 꼼꼼히 포인트를 챙기는 것과 대조적인 현상이다.

30~40대는 경제활동 주력 계층으로 카드 사용액이 커서 적립된 포인트도 많다. 최근 30대의 포인트 사용 인구가 많아졌으나 30~40대 전체로는 포인트에 큰 관심이 없어 사장하는 사례가 여전히 많다.

20대와 30대의 포인트 사용이 꾸준히 늘지만 40대 이상의 포인트 사용은 계속 감소하는 것도 특징이다.

롯데 포인트 사용 고객 가운데 20~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말 29.7%, 2008년 말 36%, 2010년 말 42.3%, 2012년 11월 말 45%로 매년 증가했다.

이는 20~30대의 알뜰한 소비성향이 포인트 사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경기침체가 계속되면서 20~30대 젊은 층의 포인트 관심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면서 “할인받는 만큼 포인트를 쌓고 쓰는 것에도 민감하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40~50대의 포인트 사용은 2006년 말 54.4%, 2008년 말 49.6%, 2010년 말 47.1%, 2012년 11월 말 47.9%로 감소세다.

40~50대도 카드를 많이 사용하지만 20~30대보다 포인트 활용률은 떨어진다. 포인트 사용은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인식 때문에 중ㆍ장년층의 비중이 줄어드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속파 남성의 포인트 사용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06년 말 22%에서 2008년 말 26%, 2010년 말 27.1%, 2012년 11월 말 31.3%로 상승했다. 전통적으로 포인트는 여성의 관심사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에는 남성도 포인트를 꼼꼼히 챙기면서 비중이 느는 것으로 풀이된다.

포인트 사용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27.7%)이었다.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0.4)였다. 매년 포인트 사용이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부산이었다. 부산의 포인트 사용은 전체 지역의 10.6% 수준이지만 연평균 사용 증가율은 66%로 1위다.

롯데 포인트는 롯데카드,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 39개 롯데 제휴사가 통합운영하고 있으며 회원 수만 2천569만명, 누적 적립은 8천347억 포인트, 사용은 7천419억 포인트에 달한다.

롯데 포인트는 백화점부터 할인점, 편의점, 슈퍼, 호텔, 패밀리레스토랑, 영화관 등이 모두 연계돼 있어 사실상 고객이 필요한 모든 물건과 서비스를 현금처럼 포인트로 구매할 수 있어 인기를 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롯데포인트는 롯데 어디서나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면서 “포인트 사용의 척도를 보여주는 월평균 포인트 사용률은 2006년 33%에 불과했으나 2008년에는 90%를 넘어 2010년 96%, 2012년 98.1%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