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재 소비보다 미래 소비 선호 때문

현재 소비보다 미래 소비 선호 때문

입력 2014-02-11 00:00
업데이트 2014-02-11 0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왜 소비가 성장률 못 따라가나 봤더니…

지난해 우리나라의 성장률은 2.8%였다. 그런데 민간소비 증가율은 1.9%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렇듯 소비가 성장률을 따라잡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왜 그럴까. 가계의 시간 선호 변화가 그 요인 가운데 하나라는 흥미로운 분석이 나왔다.

배병호 한국은행 조사국 차장은 “수년째 이어지는 소비 부진이 객관적인 데이터로는 설명 안 되는 부분이 있어 경제학 모형으로 분석해 본 결과 시간에 의한 심리적 요인을 찾아냈다”고 말했다. 손민규·정원석씨와 공동 분석한 결과가 10일 나온 ‘최근 소비부진과 가계의 시간선호 변화’ 보고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의 시간 선호도는 꾸준히 오르고 있다. 여기서의 시간 선호란 현재 소비에 대한 미래 소비의 상대적 선호도를 뜻한다. 즉 선호도가 높을수록 현재 소비를 줄이고 미래 소비를 늘리게 된다. 이를 경제학적으로 계량화해 보니 관련 지수(시간 할인 인자)가 1990~1999년 0.982에서 2000~2013년 0.991로 상승했다. 2000년대 들어 미래 소비 선호도가 강해졌음을 의미한다.

2000년대 중에서도 특히 ‘카드 사태’(2003년) 이후인 2004년을 기점으로 시간 선호도(미래 소비 선호도)가 큰 폭으로 뛰었다. 통상적으로 시간 선호도는 고령화, 실업난 등으로 소득이나 고용이 불안할 때 올라간다.

하지만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를 겪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시간 선호도 급등이 두드러진다.

미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 시간 선호도가 반짝 상승하기는 했으나 전반적으로 오르락내리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워낙 오랫동안 제로금리인 데다 소비 수요 자체가 가라앉다 보니 시간 선호도가 밋밋하게 횡보하는 양상이다. 배 차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워낙 고령화 속도가 빠르고 (미래의 주된 수입원인) 국민연금 고갈에 대한 우려 등이 커지면서 시간 선호도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1년 3분기를 기점으로 우리나라의 시간 선호도가 아예 일본을 추월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20년 장기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일본보다 우리 국민들이 미래 소비를 위해 현재 소비를 더 희생하고 있다는 얘기다.

배 차장은 “이런 심리가 지나치게 확산되면 소비 부진 장기화로 실물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연금 개혁 등 미래 소득의 불확실성을 줄여나가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2-11 15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