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소득격차 해소는 정부의 책임”<복지의식 조사>

“소득격차 해소는 정부의 책임”<복지의식 조사>

입력 2014-03-26 00:00
업데이트 2014-03-26 09: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건사회연구원 연구팀

국민 10명 중 4명은 한국이 부자는 적고 가난한 사람은 많은 사회라고 여긴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사이에 벌어진 소득격차를 줄이는 게 정부의 책임이라는데 대체로 동의하면서 정부가 실업자와 빈곤층에 적정한 수준의 삶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건사회연구원 이현주 사회정책연구본부장 등 연구팀은 ‘근로 및 사회정책에 대한 국민의식 분석’이란 보고서에서 한국복지패널 8차 조사의 ‘복지의식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해 국민의식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역·계층별 확률비례추출법에 따라 추출된 표본가구(2천399가구, 가구원 6천248명)에서 만 19세 이상 모든 가구원 5천50명을 대상으로 2013년 상반기 현재 계층구조와 분배, 빈곤원인, 정부역할, 조세부담 등에 대한 인식 등을 파악했다.

조사 결과, ‘오늘날 한국이 어떤 사회에 가장 근접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41.31%가 ‘부자가 극소수이고 하층으로 갈수록 사람이 많아져 가난한 사람이 많은 사회’라고 답했다.

’부자가 약간 있고 가난한 사람이 대부분이며 중간층이 거의 없는 사회’란 대답도 22.07%에 달했다. ‘부자가 많고 가난한 사람이 극소수인 사회’란 응답은 4.21%에 불과했다.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사회유형에 대해서는 ‘중간층이 대다수이고 부자와 가난한 사람이 극소수인 사회’란 응답이 73.11%로 매우 높았다.

소득격차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평균값이 4.02점(5점 척도)으로 소득격차가 너무 크다고 인식했다. 분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면 2.5점(4점 척도)으로 성장과 분배 각각 중요하다고 여기지만, 분배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다소 우세했다.

빈곤원인에 대한 인식조사(4점 척도)에서는 개인노력 부족(3.3점)과 개인 책임감·자기규율 부족(3.3점), 개인절약과 가계관리 부족(3.2점) 등 개인에 책임을 두는 경향이 강했다.

사회적 여건을 좀 더 강조하는 응답을 보면 낮은 임금(3.2점)과 일자리 부족(3.1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50세 미만 연령층에서 빈곤원인을 사회적 책임으로 돌리는 경향을 보였다.

사회복지가 근로의욕을 떨어뜨린다는 의견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43.9%가 ‘그렇다’, 약 39.6%는 ‘그렇지 않다’라고 해 꽤 많은 사람이 사회복지를 늘리면 일할 의욕이 저하될 것이라 우려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소득격차를 비롯해 실업자와 빈곤층에 대한 정부의 책임에 대해서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5점 이상으로 그 당위성에 동의했다.

정부가 빈곤한 사람들에 대한 혜택을 줄여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은 분명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게으르며, 복지는 전 국민이 아니라 가난한 사람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은 높은 상태를 보였다.

자녀와 부모를 돌보는데 가족책임을 지지하는 수준이 높지만, 유치원과 보육시설 서비스가 무상 제공되어야 한다는 인식도 강한 편이었다. 반면 건강보험 민영화에 대한 지지는 낮았다. 무상 대학교육에 대한 지지나 반대는 뚜렷하지 않았다.

복지예산을 늘리기 위한 증세를 지지하는지를 분석해보니, 7점 척도에서 4.5점으로 다소 지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학력·소득분위별로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복지증세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뚜렷한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소득분위별로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지지도가 낮아졌다.

5점 척도로 통일해 경제성장을 위한 감세와 복지확대를 위한 증세지지를 비교해보면, ‘경제를 살리려면 세금을 줄여야 한다’(3.0점), ‘사회복지 확대를 위해서는 세금을 더 거둬야 한다’(3.2점)로 두 문항 모두 비교적 높은 지지를 보였다.

재정부담 주체와 관련, 장애인복지와 보건의료를 포함해 모든 영역에서 국가를 바람직한 재정부담 주체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