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민 90% “아동 안전사고시 정부대처 못믿겠다”

국민 90% “아동 안전사고시 정부대처 못믿겠다”

입력 2014-08-26 00:00
업데이트 2014-08-26 14: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모 29%만 “향후 자녀 안전사고 발생하지 않을 것”서울의대 국민건강지식센터 조사결과

우리나라 부모 10명 중 9명은 아동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정부가 대처를 잘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대 소아과학교실 박준동 교수는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전국의 부모 814명을 대상으로 지난 7월 ‘아동안전사고 및 안전인식 실태조사’를 한 결과, 아동 안전사고 발생시 정부 대처를 신뢰할 수 있다는 응답이 9.4%에 그쳤다고 26일 밝혔다. 언론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도 26.4%로 낮은 편이었다. 이에 비해 전문가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는 46.7%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최근 1년간 자녀에게 발생한 안전사고의 유형을 묻는 질문에는 할퀴거나 긁힌 사고가 56.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찔림이나 베임 사고(38.9%), 손목·발목 등의 삠이나 경미한 접질림 사고(34%), 벌레에 물리거나 쏘인 사고(32.7%), 문틈에 신체 일부가 끼인 사고(24.1%), 욕조나 욕실바닥 미끄럼 사고(20.4%)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만 6세 이하 아동에서는 문틈에 신체 일부가 끼이거나 욕조 또는 욕실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를 겪은 비율이 높았고, 추락사고는 만 3세 이하 아동의 절반 이상이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모들은 날카로운 물건이나 위험한 물건을 치우는 예방행동은 잘 실천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아돌연사증후군의 발생률을 높이는 환경요인으로 알려진 ‘엎드려 재우기’와 ‘(푹신한) 어른용 침대에서 재우기’ 행동을 하지 않는 비율은 각각 47.3%, 41.9%로 절반에 못 미쳤다.

아동 안전사고 중 가장 예후가 좋지 않은 추락사고를 막기 위해 베란다 문을 항상 잠가 놓는다는 비율은 전체 부모의 18.3%로 예방행동 실천율이 가장 낮았다.

전체 부모 10명 중 9명(88%)은 만 12세 이하 아동의 가장 큰 사망원인이 안전사고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사고가 가장 잦은 곳이 ‘가정’이라는 사실을 맞힌 응답자는 51.2%에 그쳤다.

실제 서울대병원이 2013년 1년간 응급실을 찾은 만 12세 미만 손상환자(남 1천895명, 여 1천289명)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 사고의 약 4분의 3이 실내, 특히 가정에서 발생했고 사고당시 대부분 기본적인 일상생활 중이었다. 손상을 유발하는 요인도 생활 속의 가구, 장난감 등 흔히 접하게 되는 물건들이 대부분이었다.

안전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은 비교적 높은 편으로 중독, 화상, 추락시 응급처치 지식의 정답률은 모두 70% 이상이었다.

또 응답자들의 75.9%는 자녀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생활환경 및 행동 개선을 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자녀 안전사고가 향후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낙관편향’은 28.5%로 비교적 낮았다. 이는 아이 안전사고에 대한 부모들의 높은 경각심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박 교수는 설명했다.

이번 조사결과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소장 노동영 교수)가 26일 오후 서울의대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이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보건학적 노력’을 주제로 개최한 ‘개소 2주년 기념 국민건강나눔포럼’에서 발표됐다. 센터는 소아응급의학회 전문자문위원들과 협력해 오는 10월 ‘아동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작, 배포할 계획이다.

박준동 교수는 “아동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 및 예방행동의향은 높은 수준이었지만, 예방행동에 대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부모들이 정부와 언론에 가지는 신뢰도가 낮아 신뢰가 가는 지식이나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말했디.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