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보험료 납부액은 전액 소득공제 가능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액은 전액 소득공제 가능

입력 2015-01-27 05:01
업데이트 2015-01-27 16: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장가입자는 자신이 낸 보험료만 공제…임의가입한 아내 대신 낸 보험료는 공제 못받아

이미지 확대
계속되는 연말정산 대란 후폭풍
계속되는 연말정산 대란 후폭풍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7일 ”연말정산 과정에서 억울한 직장인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음에도 연말정산 대란으로 촉발된 서민증세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을 기세다. 사진은 기업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말정산 강의가 열리는 서울 강남구 역삼동 CFO아카데미의 27일 오후 모습.
연합뉴스
올해부터 연말정산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 방식으로 바뀌었지만,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액에 대해서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전액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연말정산에서 달라진 부분이 없기 때문이다.

국민연금공단은 27일 이런 내용을 포함한 연말정산 관련 Q&A를 내놓았다.

공단에 따르면 회사에서 직장가입자는 자신이 낸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액에 대해서만 공제받을 수 있다. 직장가입자의 보험료는 절반은 회사가, 나머지 절반은 자신이 부담하기 때문이다.

만약 지역가입자라면 자신이 보험료를 모두 부담하기에 전액을 공제받을 수 있다.

그동안 낸 보험료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해 확인할 수 있다.

임의가입한 아내 등 배우자 대신 낸 국민연금 보험료는 공제받을 수 없다. 국민연금 보험료에 대한 소득공제는 자신이 낸 납입액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직 등으로 납부 예외를 신청해 보험료를 내지 않은 기간의 보험료를 추가로 내도 납부연도를 기준으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보험료를 미납한 기간의 보험료를 내도 납부연도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그러려면 근로소득자는 회사에서 연말정산할 때 추가로 기재하면 되고, 지역가입자는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취업 전에 지역가입자로 낸 국민연금 보험료도 근로소득에서 공제받을 수 있다.

부모가 국민연금을 받고 있더라도 소득과 연령조건이 맞으면 부양가족으로 등록해 기본공제를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 60세 이상의 부모가 다른 소득은 없고 오직 국민연금소득만 있다면, 부모가 한 해 동안 받은 노령연금 총액(과세대상 연금소득)이 약 516만원을 넘지 않을 경우 기본공제자가 될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