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자금 900조 육박…투자처 못찾은 ‘대기자금’ 급증

단기자금 900조 육박…투자처 못찾은 ‘대기자금’ 급증

입력 2015-08-16 10:50
업데이트 2015-08-16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금리에 경기 불확실성 영향…”외부충격 때 변동성 확대요인”

단기 부동자금이 6개월 새 90조원 불어나 900조원 가까이 쌓였다.

만기를 1년 이내로 가져가는 단기 금융상품에 돈이 몰린다는 것은 투자처를 찾지 못한 대기성 자금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저금리 기조로 시중에 돈은 풀렸는데 경기 전망이 불확실하고, 장기간 돈을 투자할만한 곳도 마땅치 않아 나타나는 현상이다.

◇ 상반기 단기자금 규모 11.3% 증가

16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단기 부동자금은 884조4천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작년 12월 말 794조7천억원에서 반년 사이에 89조7천억원 늘었다.

단기 부동자금에는 현금 69조원, 입출금이 자유로운 요구불예금 164조6천억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414조3천억원, 만기가 6개월 미만인 정기예금 71조7천억원, 양도성예금증서(CD) 18조7천억원이 포함된다.

여기에 머니마켓펀드(MMF) 74조8천억원, 종합자산관리계좌(CMA) 41조원, 환매조건부채권(RP) 8조3천억원, 증권사의 투자자예탁금 22조원도 들어간다.

언제라도 현금화해 사용할 수 있는 금융자산이다.

단기 부동자금은 2008년 말 539조3천억원에서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며 2009년 말 646조9천억원으로 1년 새 20% 급증했다.

금융위기 수습 국면에서는 2010년 말 653조7천원(1.1%), 2011년 말 649조4천억원(-0.7%), 2012년 666조3천억원(2.6%) 등 매년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준에서 늘었다.

단기 부동자금이 늘어나는 속도보다 한국 경제의 덩치가 커지는 속도가 빨랐던 셈이다.

그러나 정기예금 평균 금리가 사상 처음으로 2%대에 접어든 2013년 말 단기 부동자금은 712조8천억원으로 7.0% 늘었다.

이어 지난해 11.5% 증가했고 올해는 상반기에만 11.3% 급증했다.

한은이 지난해 8월과 10월, 올해 3월과 6월 네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단기 부동자금 증가세가 가팔라졌다. 이 기간 기준금리는 연 2.50%에서 1.50%가 됐다.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단기자금 규모가 함께 증가했고, 저금리로 투자처가 마땅치 않아 단기 수익상품에 자금이 몰리는 현상도 심화됐다.

금리 인하 과정에서 장·단기 금리차가 0.1%포인트(10bp)까지 축소돼 1년 이상 예금에 돈을 넣을 유인이 떨어진 것이다.

김학균 KDB대우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은행금리가 낮은데 주식시장도 부진하다 보니 시중 자금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며 “유동성은 늘었지만 돈이 경제 내부에서 원활히 돌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돈이 안 돈다…6월 통화승수 18.2배로 사상 최저

경제 전반에 돈이 원활히 도는 정도를 보여주는 통화승수는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지난 6월 통화승수는 18.2배로 5월 말의 18.5배에서 하락한 것이다.

통화승수는 중앙은행이 푼 돈이 시중은행을 거쳐 몇 배의 신용(돈)을 창출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돈이 활발하게 돌면 수치가 상승한다. 작년 말 통화승수는 19.0배였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통화승수는 점차 단기화하는 금융상품의 구조와 5만원권 발행과도 관련이 있다”면서 “금리 인하 이후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현상 등을 보면 통화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이 1990년대 일본에서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유동성 공급을 늘리면 돈을 빌리기가 쉬워져 기업 투자와 고용이 늘어나고 가계 소비는 확대된다.

그러나 1990년대 일본은 상당 기간 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유지했는데도 통화량 증가분이 금융권 안에서만 맴돌고 투자 확대나 내수 진작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경기 상황이 불확실해 기업이 투자하지 않고 가계는 돈을 움켜쥐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부동자금 문제는 15년 넘게 이어졌다.

단기자금이 많아지는 것은 경제 전반에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자산분석팀장은 “경제에 외부 충격이 왔을 때 쉽게 빠져나갈 수 있는 단기자금은 금융시장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미국은 안정적인 퇴직연금에 가계 자금이 많이 들어가 있지만 우리는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 팀장은 “근본적으로는 경제 상황이 나아져야 단기자금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며 “그러나 경제 불확실성은 쉽게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중장기 상품에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정부가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