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잠재성장률 3% 아래로 안 떨어져”… 금리 넉 달째 동결

이주열 “잠재성장률 3% 아래로 안 떨어져”… 금리 넉 달째 동결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5-10-15 23:16
업데이트 2015-10-16 17: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기준금리 年1.5% 유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3% 아래로 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잠재성장률이 2%대로 떨어졌다는 일각의 우려를 반박한 것이다.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은 소폭 끌어내렸다. 한은의 경제전망이 낙관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에서 이달 금융통화위원회를 연 뒤 기자회견을 갖고 “인구 고령화 등 구조적 요인에다가 투자 부진 등으로 과거보다 잠재성장률이 하락했지만 경제의 성장성이나 자본축적 등을 고려할 때 3% 아래로 떨어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금통위는 이달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다. 지난 7월부터 넉 달 연속 만장일치 동결이다.
한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8%에서 2.7%로, 내년 성장률 전망은 3.3%에서 3.2%로 0.1% 포인트씩 내렸다. 지난 7월 전망 당시 올 2분기 경제성장률을 전기 대비 0.4%로 봤으나 실제 0.3%에 그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장민 한은 조사국장은 “올해 성장률을 조정한 것은 내수가 소비와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예상보다 강해진 반면 수출은 예상보다 안 좋아졌기 때문”이라며 “내수 증가와 수출 부진의 상쇄 효과를 감안해 올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고 설명했다.
장 국장은 내년 성장률 전망(3.2%)에 대해 “잠재성장률 수준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잠재성장률을 3%대 초반으로 보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올해와 내년의 경제 성장도 내수가 이끌 것으로 분석됐다. 장 국장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2.7%)에서 내수가 2.5% 포인트, 수출이 0.2% 포인트씩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3.2%)에서는 내수가 2.3% 포인트, 수출이 0.9% 포인트씩 차지한다. 이에 대해 마크 윌튼 BNP파리바 이코노미스트는 “내수 회복세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고 평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내렸다. 올해는 0.9%에서 0.7%로, 내년은 1.8%에서 1.7%로 각각 내렸다. 올해 경상흑자는 1100억 달러로 GDP 대비 7.6%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경상흑자는 GDP 대비 6.3%였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의 GDP 대비 적정 흑자 규모라고 지적한 3~4%대를 훌쩍 넘어서고 있어 환율 절하 압력이 거세질 전망이다.
실제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달러당 16.6원 급락한 1130.2원에 마감됐다. 미국의 경제지표가 부진한 가운데 한은이 금리를 동결하면서 원화가 강세를 띠었기 때문이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용어 클릭]
■잠재성장률 한 나라 경제가 물가 상승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자본과 노동 등을 투입해 최대로 성장할 수 있는 수준.

2015-10-16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