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국정원이 ‘신용정보원’ 작명 눈감아줬다고?

[경제 블로그] 국정원이 ‘신용정보원’ 작명 눈감아줬다고?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01-25 23:12
수정 2016-01-26 0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개인의 대출 및 소득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는 ‘한국신용정보원’이 이달 초 공식 출범했습니다. 대규모 ‘카드 정보 유출 사태’ 이후 은행연합회·여신금융협회·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 등에 흩어져 있던 정보를 한데 모은 신용정보집중기관이지요.

그런데 ‘작명’에 얽힌 뒷얘기가 재미있습니다. 비슷한 이름으로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있습니다. 그런데 FIU가 원래 추진했던 이름은 ‘금융정보원’이었습니다. 이 이름이 뒤집힌 것은 국가정보원 때문이었지요. 국정원 측에서 ‘정보원’이라는 이름을 쓰는 데 제동을 걸었다는 게 금융권에 전해져 내려오는 ‘정설’입니다. 결국 정보원 앞에 ‘분석’이라는 두 글자를 집어넣는 것으로 타협안이 도출됐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어떻게 신용정보원이 무사히 통과됐을까요. 신용정보원 측의 해석은 이렇습니다. “언론에 계속 신용정보집중기관으로만 소개됐다. 신정원이라는 이름은 한번도 보도되지 않았다. 막판에 작명이 이뤄져 초스피드로 (국회를) 통과되는 바람에 국정원이 미처 인지하지 못했거나 (인지했어도) 딴지를 걸 새가 없었을 것이다.”

또 하나의 해석도 있습니다. 국정원이 과거의 권위주의에서 탈피해 변했다는 겁니다. 진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금융정보원’이 안 되던 시절이 분명 존재했던 점을 떠올리면 ‘신용정보원’이라는 간판의 등장은 격세지감을 느끼게 합니다.

앞으로 신정원이 본궤도에 오르면 모든 금융권 부채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까지 해야 합니다. 금융사들의 리스크 관리, 기술금융 발전, 빅데이터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큰 만큼 ‘빅 브라더’에 대한 우려도 큽니다.

또 한 가지 걱정되는 점은 해킹 등으로 한번 뚫리면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보원’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신용정보원의 철저한 보안 수준을 기대해 봅니다. ‘정보원’의 부정적 이미지인 빅브라더만 남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할 것입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1-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