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소년 518만명 줄고 고령자 482만명 늘고… ‘항아리형’ 구조로

유소년 518만명 줄고 고령자 482만명 늘고… ‘항아리형’ 구조로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09-07 18:20
업데이트 2016-09-07 18: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년 사이 인구 구조 급변

한국 사회가 급속도로 늙어 가고 있다는 사실이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서 다시 한 번 확인됐다. 1985년부터 지난해까지 30년 동안 14세 이하의 유소년 인구는 518만명이 줄었고,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는 482만명이 늘었다. 유소년 인구가 줄어든 만큼 고령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인구구조는 완벽한 ‘항아리형’으로 바뀌었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이 7일 내놓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유소년 인구는 691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97만명이 줄어든 반면 고령 인구는 657만명으로 121만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 중 유소년의 비율은 16.2%에서 13.9%로 감소한 반면 고령 인구 비율은 11.0%에서 13.2%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유소년 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 인구의 비율을 뜻하는 ‘노령화 지수’도 68.0(1985년 14.5)에서 95.1로 급상승했다.

활발한 경제활동을 기대할 수 있는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623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72.9%였다. 2010년 3551만명(72.8%)에 비해 72만명이 늘었지만 전체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에 비중은 0.1% 포인트 증가에 그쳤다.

전체 인구를 나이 순으로 줄 세워 한가운데에 위치한 ‘중위 연령’은 41.2세로 조사됐다. 2010년 조사 당시 38.2세에 비해 3세가 늘어서 처음으로 40대에 진입했다. 주요 국가의 중위 연령과 비교해 보면 일본(46.5세), 독일(46.5세), 영국(43.4세)보다는 낮지만 프랑스(41.1세)와 미국(37.8세)보다 높고 중국(36.8세), 인도(27.3세)와는 큰 격차를 보였다.

가구주의 중위 연령도 처음으로 50세를 돌파했다. 1990년 42.2세였던 가구주의 중위 연령은 직전 조사였던 2010년 48.3세에서 이번에 50.8세로 2.5세 상승했다. 혼인을 기피하는 시대의 흐름 속에 ‘젊은 가장’의 공급이 줄었고, 70세 이상의 1인 가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 국내 모든 시·도의 고령 인구 비율이 7%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21.1%를 기록한 전남은 전국의 광역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초고령 사회’(65세 인구가 전체 20% 이상)에 도달했다. 전북(17.9%), 경북(17.8%), 강원(16.9%), 충남(16.3%) 등도 이미 ‘고령 사회’(65세 이상 인구 14% 이상)를 넘어 초고령 사회의 진입 직전이다. 반면 고령 인구가 7% 미만인 기초자치단체는 울산 북구(6.4%)와 대전 유성구(6.9%) 등 2곳밖에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구 구조에도 변화가 있었다. 총가구수는 1956만 가구로 2010년에 비해 8.9% 늘어,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2.7%)보다 높았다. 혼인과 출산이 늘었기 때문이 아니라 1인 가구가 급증한 탓이라는 얘기다. 실제 지난해 평균 가구원 수는 2.53명으로 2010년(2.68명)보다 0.15명 감소했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31.2%)이었고, 인천(23.3%)이 가장 낮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18.3%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70세 이상 17.5%, 20대 17.0% 순이었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급증하는 노인 1인 가구는 곧 홀몸 노인인데 이는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개인을 가장 먼저 보호해 주는 가족이 사라짐을 의미한다”며 “사회적 안전망을 더욱 촘촘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서울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9-08 3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