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저성장 파고 이렇게 넘자] “부가가치 무한 창출” “많은 직업 사라질 것”… ‘4차 산업혁명’ 기대와 우려

[한국 저성장 파고 이렇게 넘자] “부가가치 무한 창출” “많은 직업 사라질 것”… ‘4차 산업혁명’ 기대와 우려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6-10-30 17:54
수정 2016-10-31 00: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AI), 로봇, 가상현실(VR), 3D(3차원) 프린터, 드론(무인기) 등 다수의 신사업을 망라한다. 원하는 분야의 데이터가 방대하게 축적돼 예측이 가능해지고, 모든 사물과 사람이 인터넷으로 촘촘하게 연결되는 한편 극도의 자동화가 이뤄지면서 기계가 인간의 정신노동을 대신하고 버튼이나 말 한마디로 모든 것을 조종하는 마법 같은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가장 각광받는 주자로는 AI가 꼽힌다.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통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로 여러 가지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기계가 사용자의 의도와 맥락을 이해하는 만큼 투자 결정, 의학정보 분석, 통역 등 방대한 업무를 해내면서 차별화된 자동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여러 분야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자산투자·관리를 해 주는 AI인 ‘로보어드바이저’가 대표적이다. 신한금융투자와 에프앤가이드가 올 4월부터 최근까지 6개월간 진행한 ‘로봇 vs 인간 주식 실전투자대회’의 최근 성적을 보면 1위가 수익률 2.68%를 기록한 위즈도메인의 로보어드바이저인 ‘위즈봇1호’다.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AI 등 ICT 요소들이 자동차 산업에 적용되면 당장 주변 자동차 및 인프라와 실시간 교류하면서 스스로 안전 운행하는 자율주행차가 탄생한다. AI를 3D 프린터에 탑재하면 특정인의 체형과 취향 등을 이해해 개인에게 꼭 맞는 정장을 바로 만들 수 있는 의류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진정한 다품종 소량 생산 시대를 열 수 있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생활의 질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높여 주지만 동시에 사용자인 사람의 일자리를 줄일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인간 대신 분석과 소통을 하면서 종전의 수많은 직업이 사라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백종현(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 서울대 철학과 명예교수는 “문명 발달사를 보면 종전 일자리가 기술 발전으로 없어지면 계속 새 일자리가 생겼다”면서 “문제는 4차 산업혁명 이후에는 인간이 할 일을 몽땅 기계가 대체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일자리 분배가 큰 사회 이슈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로봇이 사람의 역할을 100% 대체하기 어렵고 솔루션 개발과 고객 서비스 기획 등 사람만이 할 일이 또 계속 생긴다는 견해도 있다. 김지희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연구센터 인공지능팀 상무는 “완전 자율주행차가 현실화되면 운전에 집중해야 하는 시간 동안 할 수 있는 다른 일을 위한 서비스가 생겨날 것”이라면서 “4차 산업혁명으로 무한한 부가가치를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6-10-3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