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야생진드기 바이러스 ‘가족 간 감염’ 국내 첫 확인

야생진드기 바이러스 ‘가족 간 감염’ 국내 첫 확인

입력 2017-01-02 07:58
업데이트 2017-01-02 07: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드기 물린 적 없는 아내 혈청서 SFTS 유전자·항체 나와

야생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의 가족 간 감염 사례가 국내 최초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야생진드기가 옮기는 SFTS 바이러스에 대한 더욱 철저한 예방책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SFTS 바이러스 감염 환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의 2차 감염 사례만 보고됐다.

이근화 제주대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팀은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NIID) 연구팀과 공동으로 2015년 6월 제주도에서 야생진드기에 물린 뒤 SFTS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한 남성(74)의 아내에 대한 유전자 및 혈청 검사를 시행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열대의학·위생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ASTMH) 최근호에 발표됐다.

SFTS는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질환으로, 치사율이 30%를 넘는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1~2주의 잠복기 이후 감기 증상과 비슷하게 열이 나거나 근육통을 앓는다. 이후 설사가 나거나 근육통이 심해지고, 심지어는 의식이 떨어지는 뇌 증상을 보이다가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지면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문제는 이 바이러스가 진드기에 물리지 않고도 분비물 등을 통해 환자와 밀접 접촉한 가족이나 의료진 등에게 옮을 수 있다는 점이다.

국내에서는 이런 위험성이 2015년 2월에서야 처음으로 부각됐다. 당시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던 모 대학병원의 의사와 간호사들이 무더기로 이 바이러스에 2차 감염된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후 환자와 밀접 접촉이 불가피한 가족들의 2차 감염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지금까지 가족 간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사례는 없었다.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2015년 6월 당시 야생진드기에 물려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는 74세 남성과 그의 아들, 사위 등 총 3명이었다. 3명의 환자는 각기 진드기에 물린 자국이 있어 가족 간 감염으로 볼 수 없었다. 이 중 74세 남성은 치료를 받다가 증세가 나빠져 끝내 사망했고, 두 명은 회복했다.

연구팀은 숨진 74세 남성과 가정 내에서 접촉이 많았던 아내의 감염 가능성에 주목하고 혈액 내 혈청을 채취해 유전자 검사(PCR)를 하는 한편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에서 항체 검사를 시행했다. 아내는 진드기에 물린 자국은 없었다.

이 교수팀이 일본에서 항체 검사를 한 것은 일본이 SFTS와 같은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체계적인 검사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서다. 실제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는 2015년 일본에서 발생한 SFTS 감염 사망자 16명의 사인을 규명하기 위해 모두 사체부검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분석 결과 아내의 혈청에서 SFTS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검출됐다. 이는 남편으로부터 SFTS 바이러스에 2차 감염된 뒤 자연스럽게 면역력이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유전자 검사에서는 실제 SFTS 바이러스도 분리됐는데, 이 바이러스는 숨진 남편의 것과 동일한 계통으로 밝혀졌다.

이근화 교수는 “SFTS 바이러스의 가족 간 감염은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것이지만, 세계적으로는 2012~2013년 사이 중국에서 3건의 가족 간 2차 감염이 보고된 적이 있다”면서 “중국과 한국 사례를 볼 때 SFTS는 의료인은 물론이고 환자를 돌보는 가족, 주변인 등에게도 감염될 수 있는 만큼 야생진드기 의심환자를 대할 때는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