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무원시험 매달린 ‘공시생’…경제 손실 17조1천억원

공무원시험 매달린 ‘공시생’…경제 손실 17조1천억원

입력 2017-04-05 11:06
업데이트 2017-04-05 1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경제硏…“공시생 25만7천명,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의 5.2%”“공시생 증가 책임은 한국사회에 있어…고용조건 개선해야”

많은 취업준비생이 공무원시험에 매달리면서 사회적으로 연 17조1천429억원의 손실을 보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6일 발표한 ‘공시(공무원시험)의 경제적 영향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는 2011년 537만4천명에서 지난해 498만명으로 7.3%(39만4천명) 감소했다.

그러나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청년은 2011년 18만5천명에서 지난해 25만7천명으로 38.9%(7만2천명)나 증가했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중 공무원시험 준비생(공시생) 비중은 2011년 3.4%에서 지난해 5.2%로 상승했다.

이들 공시생이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공시생들이 시험 준비 과정에서 지출하는 교육비와 생활비 등은 경제의 순기능이다.

이들이 월평균 150만원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총 4조6천260억원의 소비로 경제적 순기능을 일으킨다.

그러나 공시생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생산과 소비의 기회비용은 역기능이다.

생산 기회비용은 공시생 수에 취업자 1인당 평균 부가가치 생산액을 곱해 계산했고, 소비 기회비용은 공시생 수에 20대 가구주의 연평균 가계소비지출액을 곱해 계산했다.

그 결과 경제의 역기능인 기회비용은 총 21조7천689억원으로 계산됐다.

전체 경제로 보면 연간 17조1천429억원의 순기회비용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약 1.1% 규모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공시생이 증가한 원인은 ‘질 좋은 일자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그 책임은 전적으로 고용창출력을 확보하지 못한 한국사회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 전체적으로 인재가 시험 준비에 그 능력을 집중하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라며 “청년 일자리에 대해 임금 등 고용조건을 개선하고 고용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