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름살’ 깊어지는 2045년… 1인 가구 46%가 독거노인

‘주름살’ 깊어지는 2045년… 1인 가구 46%가 독거노인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7-04-13 23:14
수정 2017-04-14 03: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미성년자녀 둔 가구 12% 불과
배우자 사별 인한 1인가구 늘어
이미지 확대
10가구 중 4가구에 사람이 한 명만 산다. 그 절반 가까이가 65세 이상 독거노인이다.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는 1인 가구의 절반도 안 된다. 특히 미성년 자녀가 있는 집은 전체 10가구 중 1가구 정도에 불과하다. 아이는 태어나지 않고 늙어만 가는 2045년 우울한 대한민국의 모습이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올해 전체 가구의 28.5%(556만 2000가구)인 1인 가구는 2045년 36.3%(809만 8000가구)로 늘어난다. 같은 기간 30.4%(593만 3000가구)인 ‘부부+자녀’ 가구는 저출산으로 인해 15.9%(354만 1000가구)로 줄어든다. 또 1인 가구 중 24.0%(133만 7000가구)인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가구는 고령화로 인해 45.9%(371만 9000가구)로 늘어나 전체 1인 가구의 절반에 육박하게 된다.

장래가구추계는 인구주택총조사, 장래인구추계, 인구동태통계 등을 기초로 작성되며 5년마다 발표된다.

2015년 기준 부부+자녀(미혼)로 구성된 가구가 32.2%(613만 2000가구)로 가장 많았지만, 당장 2년 뒤인 2019년에는 1인 가구가 590만 7000가구로 증가해 부부+자녀 가구(572만 1000가구)를 뛰어넘는다. 2045년까지 1인 가구는 연평균 9만 7000가구, 부부 가구는 6만 가구씩 증가하는 반면 부부+자녀 가구는 8만 6000가구씩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15년 이미 절반을 넘어선 1, 2인 가구(53.3%)는 2045년 71.2%까지 늘어나 우리나라 가구의 대표 유형이 된다. 반면 4인 가구는 같은 기간 18.8%에서 7.4%까지 줄어든다

2015년 19.3%(366만 4000가구)였던 65세 이상 가구주 비중은 2045년 47.7%(1065만 3000가구)까지 치솟는다. 70대가 20.3%(454만 가구)로 가장 많아지고, 60대가 19.7%(439만 2000가구)로 두 번째를 차지하게 된다. 40대와 50대는 각각 12.3%(273만 7000가구), 16.4%(365만 2000가구)로 줄어들게 된다. 2015년 3.4%(65만 가구)인 80세가 넘는 초고령 가구주도 2045년 17.8%(397만 2000가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가구주를 나이순으로 일렬로 세웠을 때 가운데 위치한 사람의 연령을 뜻하는 가구주 중위연령도 2015년 50.6세에서 2045년 64.0세로 13.4살 많아진다.

미성년 자녀가 없는 가구는 2045년까지 연평균 21만 가구씩 증가하지만, 미성년 자녀가 있는 가구는 9만 9000가구씩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성년 자녀가 있는 가구의 비중은 12.4%로 감소하게 된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현재는 혼인 기피로 1인 가구가 늘고 있지만,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앞으로는 배우자 사별로 인한 1인 가구가 늘어난다”며 “저출산 속도가 급격하고 기대수명이 빨리 늘어 변화에 대비할 시간이 많지 않다. 가장 안정적인 대책은 출산율을 높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4-1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